Logo
기본

loss of Korean nationality, based on the Korean Nationality Act (Articles 12, 14, and 15)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6 hours ago

✅ Grounds for Loss of Korean Nationality

Under the Nationality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a person may lose Korean nationality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1. Voluntary Acquisition of a Foreign Nationality

  • If a Korean national voluntarily acquires a foreign nationality, they automatically lose their Korean nationality.
  • (Nationality Act, Article 12, Paragraph 1)
  • Exception: If the person intends to retain Korean nationality, they may submit a report to retain it according to Presidential Decree.

Example: A Korean citizen who acquires U.S. citizenship by application automatically loses Korean nationality unless they report intent to retain it.


2. Dual Nationals Choosing Foreign Nationality

  • A person who holds dual nationality and chooses the foreign nationality may file a report to renounce Korean nationality.
  • (Nationality Act, Article 12, Paragraph 2)

3. Failure to Choose Nationality by the Deadline

  • Dual nationals by birth must choose their nationality before March 31 of the year they turn 22.
  • If they fail to do so, the Minister of Justice may issue an order to choose nationality.
  • Failure to comply may result in loss of Korean nationality.
  • (Nationality Act, Articles 14 & 15)

4. Exercising Foreign Nationality

  • If a dual national uses their foreign nationality (e.g., using a foreign passport to assert rights abroad), it may be considered an abandonment of Korean nationality, leading to its forfeiture.

5. Restoration of Foreign Nationality After Naturalization

  • If a naturalized Korean restores their previous foreign nationality, they lose Korean nationality automatically.

📌 Practical Notes

  • Those who lose Korean nationality must file a report of nationality loss at the immigration office or embassy.
  • Failure to report may result in administrative complications (e.g., military duty, resident registration issues).
  • The effective date of nationality loss is usually:
    • The date of foreign nationality acquisition, or
    • The date of nationality renunciation report.
  • After loss of nationality, one may need to change to a visa status or leave Korea, depending on their circumstances.

🧾 Required Documents for Reporting Nationality Loss

CategoryDocuments
GeneralReport of nationality loss, Korean ID/passport, proof of foreign nationality
Dual nationalsNationality choice order (if applicable), proof of foreign nationality use

✅ Conclusion

Loss of Korean nationality may occur due to:

  • Voluntary acquisition of a foreign nationality
  • Failure to comply with nationality choice rules
  • Exercising foreign nationality while holding Korean nationality

It can be automatic or require a formal report. Since it significantly affects legal status in Korea (e.g., immigration status, military service), individuals are strongly advised to complete all necessary procedures promptly.

For complex or unclear situation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consult an immigration lawyer or administrative specialist.


대한민국 국적 상실 사유 (법적 근거: 국적법 제12조)

다음의 경우,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하게 됩니다.

1. 자진하여 외국 국적을 취득한 경우

  • 대한민국 국민이 본인의 의사로 외국 국적을 취득한 경우
  • 국적법 제12조 제1항: 자동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
  • 예외: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적 보유를 원할 경우 국적 보유 신고 가능

예: 한국인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여 취득하면, 대한민국 국적은 자동 상실됨


2.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상태에서 외국 국적을 선택한 경우

  • 복수국적자가 외국 국적을 선택하고, 그 사실을 신고한 경우
  • 국적법 제12조 제2항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 상실 신고 가능

3. 이중국적자 중 국적선택 기한을 지키지 않은 경우

  • 출생 등으로 복수국적자가 된 사람이 만 22세가 되기 전까지 국적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법무부장관이 국적선택을 명할 수 있음
  • 명령을 받고도 이행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할 수 있음 (국적법 제14조, 제15조)

4. 외국 국적을 행사한 경우

  • 복수국적자가 외국 국적을 사용하여 외국에서 권리를 행사하거나, 여권을 사용한 경우,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어 상실 처리 가능

5.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전의 외국 국적을 회복한 경우

  • 귀화 등을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외국 국적을 회복한 경우, 대한민국 국적은 상실됨

실무상 유의사항

  • 국적상실자는 반드시 국적상실 신고를 해야 하며, 신고를 하지 않으면 행정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 (예: 병역의무, 주민등록 등재 등)
  • 국적상실 시점은 외국 국적을 취득한 날 또는 국적선택 신고일 기준
  • 국적 상실 후 체류자격 변경 또는 출국해야 할 수 있음

🧾 관련 서류 (국적상실 신고 시)

구분제출서류
공통국적상실 신고서, 신분증, 외국 국적 취득 증명서(여권 등)
복수국적자국적선택 명령서(있는 경우), 외국 국적 행사 사실 증빙

결론

대한민국 국적 상실은 의사에 따른 외국 국적 취득, 국적선택 기한 미준수, 외국 국적 행사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자동 상실 또는 신고에 의한 상실로 나뉘며,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법적 지위가 변동되므로, 국적 상실 시 반드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신고 및 체류자격 조정이 필요합니다.

복잡한 국적 상태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행정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