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objection procedures under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the Refugee Act in Korea: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6 hours ago

Objection Procedures under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the Refugee Act

– Eligible Cases, Deadlines, Process, and Important Notes –


✅ 1. Objection under the Immigration Control Act

The Immigration Control Act provides foreign nationals with the right to file an objection against certain administrative decisions made by immigration authorities. This allows for an initial review and possible reversal of actions such as deportation or exit bans.

◾ Main Types of Objections

Objection to Deportation Order

  • Who can file: A foreign national who has received a Deportation Order
  • Deadline: Within 7 days from the date the order was received
  • Applicant: The person subject to the deportation (suspect)
  • Legal Basis: Immigration Control Act Article 63
  • Notes:
    • Objection must be filed within the deadline to prevent enforcement of the order
    • It is also possible to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but objection is usually the first step

Objection by Detained Foreign Nationals

  • Who can file: Foreigners held in detention centers under a Protection Order
  • Applicant: The foreign national or their legal guardian/representative
  • Legal Basis: Immigration Control Act Articles 51 and 52
  • Notes:
    • Long-term detention has raised human rights concerns
    • Objection can be filed at any time during detention or upon extension of detention

Objection to Exit Ban or Extension

  • Who can file: A person who has been issued an exit ban or notified of its extension
  • Deadline: Within 10 days from the notification date
  • Notes:
    • Exit bans are imposed for reasons like criminal investigations, unpaid taxes, or national security
    • This objection allows individuals to challenge the legal basis of the ban

✅ 2. Objection under the Refugee Act

Under the Refugee Act, foreign nationals who have been denied refugee status or had their refugee status revoked may file an objection through a separate procedure.

◾ Applicable Cases

Denial of Refugee Status (Non-recognition)

  • Who can file: Applicants who received a decision of non-recognition
  • Deadline: Within 30 days from the date of decision notice
  • Authority: Ministry of Justice, reviewed by the Refugee Committee
  • Legal Basis: Refugee Act Article 18

Cancellation of Refugee Recognition

  • Who can file: Previously recognized refugees whose status has been revoked
  • Legal Basis: Refugee Act Article 22

◾ Important Notes

  • If an objection is filed under the Refugee Act, you cannot file an administrative appeal (under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for the same decision
    • This objection procedure replaces administrative appeals
  • However, administrative litigation (court lawsuit) remains available if the objection is denied

✅ 3. Practical Considerations

ItemDescription
Strict DeadlinesDeportation: 7 days / Exit Ban: 10 days / Refugee denial: 30 days
Evidence is KeyInclude documents proving the unfairness or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action
No Duplicate AppealsYou may not file both a Refugee Act objection and an administrative appeal for the same matter
Concrete Legal BasisAvoid vague complaints – present clear legal and factual grounds for your objection

✅ 4. Conclusion

The objection systems under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Refugee Act provide important legal safeguards for foreign nationals and refugee applicants facing serious administrative actions like deportation, detention, or denial of refugee status.

Each procedure has specific eligibility criteria, deadlines, and filing authorities, so it’s crucial to act quickly and accurately. Missing the deadline may result in loss of all legal remedies.

Make sure your objection is supported by strong factual and legal arguments, and consider seeking guidance from an immigration attorney or certified administrative scrivener to ensure the best possible outcome.

✅ 1. 출입국관리법상 이의신청 제도

출입국관리법은 행정청의 처분에 대해 당사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으며, 특정 처분에 대해 일정 기간 내에 이의신청을 통해 이의제기 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이의신청 유형

강제퇴거명령에 대한 이의신청

  • 대상: 출입국관리청으로부터 강제퇴거명령서를 통보받은 외국인
  • 신청자: 당사자인 **외국인 본인(용의자)**이 직접 신청
  • 신청기한: 명령서를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
  • 법적 근거: 출입국관리법 제63조
  • 유의사항:
    • 기한을 넘기면 강제퇴거 효력이 발생하여 법적 구제 어려움
    • 이의신청과 별도로 행정소송 제기 가능 (다만, 대부분 이의신청이 먼저 활용됨)

보호외국인에 대한 이의신청

  • 대상: 보호명령에 의해 외국인보호소 등에 수용된 외국인
  • 신청자: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보호자
  • 근거: 출입국관리법 제51조 및 제52조
  • 유의사항:
    • 장기 보호에 대한 인권 침해 논란으로 인해 보호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이 증가 추세
    • 보호 연장 시에도 별도 이의신청 가능

출국금지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 대상: 출국금지 또는 출국금지 연장 통보를 받은 외국인
  • 신청기한: 금지기간 연장 통보일로부터 10일 이내
  • 유의사항:
    • 출국금지는 형사사건, 체납, 국가안보 등의 사유로 제한됨
    • 법무부 장관 또는 출입국관서장의 처분에 대한 구제 수단으로 활용

✅ 2. 난민법상 이의신청 제도

난민법은 난민신청자에게 불인정 또는 인정 취소 처분을 받은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 이의신청 대상

난민불인정 결정

  • 대상: 난민신청을 하였으나 ‘난민불인정’ 처분을 받은 자
  • 법적 근거: 난민법 제18조
  • 이의신청기한: 결정 통보일로부터 30일 이내
  • 처리기관: 법무부 난민위원회

난민인정의 취소

  • 대상: 기존에 난민으로 인정받았으나, 허위 사실 등으로 인정 취소된 경우
  • 법적 근거: 난민법 제22조

◾ 유의사항

  • 난민법에 따라 이의신청을 진행한 경우, 행정심판(행정심판법상 절차)은 청구할 수 없습니다.
    • 즉, 난민법상 이의신청은 행정심판을 갈음하는 전속 절차로 해석됩니다.
  • 다만, 이의신청 결과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행정소송은 가능합니다.

✅ 3. 실무상 주의할 점

항목설명
기한 엄수강제퇴거: 7일, 출국금지: 10일, 난민불인정: 30일 등 기한 내 신청하지 않으면 구제 수단 상실
충분한 입증자료처분의 부당성을 입증할 서류, 진술서, 참고인 진술 등을 구비해야 함
중복신청 불가난민법상 이의신청을 한 경우, 같은 사안에 대해 다시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없음
구체적인 사유 제시단순한 불복이 아닌 법률상 또는 사실상 이유를 논리적으로 제시해야 가부 판단이 명확해짐

✅ 4. 결론

출입국관리법과 난민법상 이의신청 제도는 외국인 및 난민 신청자들이 부당한 처분에 대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중요한 절차입니다. 각 제도별로 신청기한, 대상, 신청기관이 다르므로 반드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정확히 확인하고 신청해야 하며, 기한을 넘기는 경우에는 법적 구제수단 자체가 소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의신청은 단순한 불복이 아닌 사실과 법률에 기초한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준비되어야 하며, 필요시 출입국전문 행정사 또는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