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the Refugee Appeal Procedure in South Korea

Eunsun Park
Eunsun Park
1 day ago

1. What Is a Refugee Appeal?

When a person’s refugee application is denied by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MOJ), they may file an appeal—a formal request for reconsideration—through the Refugee Committee.

This is a non-judicial administrative review system, separate from court litigation, where a panel of independent experts examines the legitimacy of the initial denial.


2. Legal Basis

  • Refugee Act Article 18
  • Enforcement Decree of the Refugee Act Article 20
  • MOJ Guidelines on Refugee Review Procedures (2022 revision)

3. Who Can File a Refugee Appeal?

You may file an appeal if:

  • You received a written decision denying your refugee status application.
  • You were also denied humanitarian stay (G-1) status.

⚠ Note: If your application was dismissed without full review (e.g., manifestly unfounded), you cannot file an appeal and must pursue judicial review (administrative litigation).


4. Appeal Deadline and Submission

ItemDetails
DeadlineWithin 30 days of receiving the denial notice
SubmissionTo the Immigration Office or directly to the Refugee Committee
MethodIn person or by registered mail (representatives can also submit)
Reviewing BodyRefugee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composed of external legal/NGO/human rights experts)

5. Required Documents

DocumentDescription
Appeal FormUse official MOJ format; explain the reason for objection in detail
Refugee Denial NoticeMust attach original or copy
Additional EvidenceWritten statement, persecution proof, photos, witness declarations, etc.
Power of AttorneyRequired if submitting through a legal representative
Interpreter RequestIf needed, specify language preference in writing

The appeal must provide clear facts and legal reasons as to why the initial denial was wrong. New or previously omitted evidence should be included in this stage.


6. Appeal Review Procedure

  1. Submission of Appeal
  2. Transfer to Refugee Committee
  3. Initial Document Review
  4. Oral Hearing (if necessary)
  5. Committee Deliberation and Vote
  6. Final Decision Notification

Average processing time: 6 months, but may vary (can extend to 12+ months depending on caseload)


7. Appeal Outcomes

DecisionResult
ApprovedRefugee status granted → eligible for F-2-4 visa
RejectedAppeal denied → option to file administrative litigation within 90 days

Even if the appeal is rejected, immediate deportation does not occur. You may apply for another visa (e.g., F-1 or G-1) or request stay during pending litigation.


8. Key Considerations

  • Emotional arguments are not enough—use legal reasoning and factual detail
  • Describe persecution with specifics: actors, methods, frequency, inability to seek protection
  • Translated documents must be officially translated or notarized
  • Appointing a legal or NGO advocate can significantly improve success rates

9. Additional Notes

  • The UN Refugee Convention criteria must be clearly met (race, religion, nationality, political opinion, or membership in a particular social group)
  • War, poverty, or economic hardship alone are not valid grounds for refugee recognition
  • Applicants may receive support from legal aid NGOs (e.g., NANCEN, Advocates for Public Interest Law, Korea Refugee Rights Network)

Conclusion

Filing a refugee appeal is the only non-judicial remedy available after an initial denial. It requires detailed preparation, clear argumentation, and strong supporting documents.

Due to the complexity and importance of the proces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consult with an immigration or refugee law expert.

1. 난민 이의신청이란?

난민 신청자가 법무부(출입국·외국인청)로부터 난민 불인정 처분을 받은 경우, 그 결정에 불복하여 다시 심사를 요청하는 절차를 **‘난민 이의신청’**이라 합니다. 이는 행정심판에 준하는 절차로서, 법무부 산하의 난민위원회가 별도로 심의하게 됩니다.


2. 관련 법령 근거

  • 「난민법」 제18조(난민불인정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 「난민법 시행령」 제20조
  • 「난민심사·처우·체류지침(2022.9 개정판)」

3. 이의신청 대상

다음과 같은 경우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난민 신청 후 난민불인정 통보서를 수령한 자
  • 인도적 체류 허가도 함께 거부된 경우

※ 단, 난민 신청이 각하된 경우(명백히 근거 없음 등)는 이의신청 대상이 아님 → 행정소송만 가능


4. 이의신청 기간 및 방법

구분내용
신청기한불인정 처분 통보일로부터 30일 이내
제출처관할 출입국·외국인청 또는 난민위원회
제출방법방문 또는 등기우편 / 대리인 접수 가능
심사기관법무부 소속 ‘난민위원회’ (외부 전문가 포함)

5. 제출서류

서류명설명
이의신청서정해진 양식, 사유 구체적으로 기술
난민불인정결정서원본 또는 사본 첨부
추가 증거자료진술서, 입국경위서, 사진, 증인진술 등
변호인 위임장법률대리인 선임 시 제출
통역요청서필요 시 신청 (희망 언어 명시)

※ 반드시 사실관계 및 박해의 위험에 대한 구체적 서술이 필요하며, 초기 제출하지 못했던 추가 증거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6. 이의심사 절차

  1. 이의신청 접수
  2. 난민위원회 회부
  3. 기초 서류심사 및 보완요구
  4. 구술심문(필요 시) – 신청자 면담
  5. 위원회 심의 및 결정
  6. 결정 통지

통상 처리기간: 약 6개월 내외 (건수에 따라 1년 이상 소요 가능)


7. 결과 및 이후 대응

결과설명
인용난민 지위 인정 → F-2-4 체류자격 부여
기각이의신청 기각 → 30일 내 행정소송 가능

※ 이의신청 기각 시 즉시 강제출국은 아님 → 체류기간 만료 전 별도 체류자격 변경(F-1, G-1 등) 또는 소송 중 체류허가 신청 필요


8. 이의신청 시 주의사항

  • 단순 불만 표출이 아닌 법적 논리와 사실 입증이 필요
  • 이유서 작성 시 구조화된 논리 필요 (예: 박해의 주체, 유형, 반복성, 지역 불안정 등)
  • 번역문은 반드시 공식 번역본 또는 공증본 제출
  • 변호인 선임 시 보다 전문적인 대응 가능 (공익단체 연계 가능)

9. 참고자료 및 유의사항

  • 「난민법」에 따른 심사이므로 UN 난민협약의 정의에 부합해야 함
  • 경제적 사유, 단순 불안정, 전쟁 회피 등은 불인정 사유로 판단될 수 있음
  • 난민전문단체(공익법센터 어필, 난민인권센터 등)와의 연계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음

결론

난민 이의신청은 기각 처분에 대한 유일한 구제절차로서,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서류 작성 및 증거자료 구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