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overview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ationality Act: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7 hours ago

1. Purpose and Scope of the Nationality Act

● Purpose

The Nationality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s the acquisition, loss, renunciation, and recovery of Korean nationality, aiming to define and protect the legal status and rights of nationals.

● Who It Applies To

  • Individuals seeking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by birth, naturalization, or adoption)
  • Those intending to renounce, lose, or recover Korean nationality
  • Dual nationals subject to nationality selection obligations

2. Nationality Acquisition Procedures

① By Birth

  • A child born to at least one Korean parent (father or mother) automatically acquires Korean nationality at birth
  • Nationality is granted upon birth registration

② By Naturaliz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naturalization:

TypeDescriptionKey Requirements
GeneralForeigners with no Korean lineage≥5 years residence, good conduct, financial stability
SimplifiedSpouse or child of a Korean national≥3 years residence, proof of family relationship
SpecialExceptional cases (merit/service)Residence may be waived, subject to Minister's discretion

Note: Naturalization is subject to approval by the Minister of Justice and is not automatic.

③ By Adoption

  • Foreign minors adopted by Korean citizens may acquire nationality through simplified naturalization

3. Nationality Loss and Renunciation

■ Loss of Nationality

  • Occurs automatically if a Korean national voluntarily acquires a foreign nationality
  • Must file a report of loss

■ Renunciation (for Dual Nationals)

  • Dual nationals must renounce Korean nationality before March 31 of the year they turn 18
  • Especially important for males subject to military duty

4. Nationality Recovery

■ Who May Apply

  • Former Korean nationals or foreigners with special reasons may apply to recover nationality
  • There are general and simplified recovery options
  • Factors such as criminal record, military obligations, and residency abroad are considered

5. Dual Nationality System

While Korea generally follows a single nationality principle, dual nationality is allowed in limited cases:

CategoryObligation
Dual national malesMust choose nationality or fulfill military service by age 18 (March 31)
Adults acquiring dual nationalityMust choose nationality within 1 year

6. Application & Filing Process Overview

ProcedureFiling AuthorityReviewing Authority
NaturalizationImmigration OfficeMinistry of Justice
Loss / RenunciationCity/District Office or EmbassyMinistry of Justice
Nationality RecoveryImmigration OfficeMinistry of Justice
Nationality SelectionCity/District Office or EmbassyMinistry of Justice

7. Practical Considerations

  • All foreign documents must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notarized or apostilled
  • The review process may take 6 months to over a year
  • After naturalization or recovery, resident registration or alien registration must be completed promptly

Conclusion

Korea’s nationality system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jus sanguinis (right of blood) and considers factors such as residency duration,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integration. Strict screening, especially for naturalization and dual nationality cases, means that proper documentation and legal procedures are essential.

For complex cases (e.g., dual nationals, adoptees, recovery applicants), it is strongly advised to consult an immigration attorney or administrative specialist.

다음은 대한민국 「국적법」의 전반적인 개요 및 주요 절차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내용은 실무자나 민원인이 국적과 관련된 기본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1. 국적법의 목적과 적용 대상

● 법령 목적

「국적법」은 대한민국의 국적 취득, 상실, 회복 등 국적의 취득 및 변동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여, 국민의 지위와 권리를 명확히 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 적용 대상

  • 출생, 귀화, 입양 등을 통해 국적을 취득하려는 사람
  • 대한민국 국적을 이탈, 상실, 회복하려는 사람
  • 복수국적자로서 국적선택 등을 진행하려는 사람

2. 국적 취득 절차

① 출생에 의한 국적 취득

  • 원칙적으로 부 또는 모가 대한민국 국민이면 출생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적을 자동 취득
  • 출생 신고 시 함께 국적이 부여됨

② 귀화에 의한 국적 취득

3가지 유형의 귀화제도 존재:

구분내용요건
일반귀화한국인 혈통이 없는 외국인5년 이상 거주, 생계능력, 품행 등
간이귀화한국인과의 가족관계 보유3년 이상 거주, 국민의 배우자·자녀 등
특별귀화특별한 공로·기여자거주기간 면제 가능

※ 귀화허가 여부는 법무부 장관의 재량 행정행위로, 심사 후 허가 결정

③ 입양에 의한 국적 취득

  • 대한민국 국민에게 입양된 미성년 외국인은 간이귀화 절차를 통해 국적 취득 가능

3. 국적 상실 및 이탈 절차

■ 국적 상실

  • 외국 국적을 자진 취득한 경우, 대한민국 국적 자동 상실
  • 신고 의무 존재

■ 국적 이탈

  • 출생으로 복수국적을 보유하게 된 자는 만 18세 3월 31일까지 국적이탈 신고 가능
  • 특히 남성의 경우 병역의무 이행 여부가 이탈 가능 시점에 영향

4. 국적 회복 절차

■ 국적상실자 또는 외국인에게 회복 허가

  • 과거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했거나, 특별한 사유로 국적을 회복하려는 자
  • 회복 허가 시, 일반회복간이회복으로 나뉨
  • 병역 의무, 범죄 이력, 재외국민 여부 등이 심사 요소

5. 복수국적 관련 제도

  • 대한민국은 원칙적으로 단일국적주의를 채택하나, 일정 요건 하에 복수국적 허용
  • 복수국적자는 일정 기한 내에 국적 선택 또는 국적이탈 의무 발생
대상조치
복수국적 남성만 18세 3월 31일까지 이탈 신고 또는 병역 이행 후 선택
성년자의 복수국적 취득1년 내 국적 선택 신고 필요

6. 신청 및 신고 절차 개요

절차접수기관심사기관
귀화허가 신청출입국·외국인청법무부
국적상실·이탈 신고시·군·구청 또는 재외공관법무부
국적회복 신청출입국·외국인청법무부
국적선택 신고시·군·구청 또는 재외공관법무부

7. 실무상 유의사항

  • 모든 외국어 서류는 한글 번역 후 공증 또는 아포스티유 필수
  • 심사기간은 평균 6개월~1년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귀화 또는 회복 후에는 반드시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등록 절차를 이행해야 함

결론

대한민국의 국적 제도는 혈통주의 원칙을 바탕으로, 거주 요건, 가족관계, 사회 통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국적을 부여하거나 회복합니다. 특히 복수국적자의 국적 선택 및 병역 관련 조치, 귀화 심사의 엄격성, **서류의 형식 요건(공증, 번역 등)**이 실무상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개별 사안에 따라 전문 행정사의 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Logo
© 2025 The K Administrative Agency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