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Military Service Affects Eligibility for the F-4 Visa
1. How Military Service Affects Eligibility for the F-4 Visa
If you’re an overseas Korean who has either renounced or lost Korean nationality but were once subject to Korea’s mandatory military service, your eligibility for the F-4 (Overseas Korean) visa depends on your military service status.
In simple terms:
- If you have completed military service or were legitimately exempted, you can qualify for the F-4 visa.
 - If you intentionally avoided military service or renounced nationality to escape conscription, you may be permanently ineligible.
 
2. Legal Basis
-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 Article 5, Paragraph 1, Subparagraph 1(b)
 - Military Service Act, Article 94 (Punishment for Evasion)
 - Ministry of Justice Guidelines on F-4 Eligibility
 
3. F-4 Visa Eligibility Based on Military Status
| Military Status | F-4 Visa Eligibility | Notes | 
|---|---|---|
| Completed service (active duty or alternative service) | ✅ Eligible | Must show proof of service | 
| Exempted (due to illness, age, etc.) | ✅ Eligible | Submit official exemption documents | 
| Evasion or refusal of service | ❌ Not eligible | May result in permanent disqualification | 
| Never served (under age 37) | ⚠️ Case-by-case review | Nationality renunciation timing is key | 
4. What Counts as Military Evasion?
You may be considered a draft evader if you meet any of the following:
- Renounced or lost Korean nationality during conscription age to avoid service
 - Lived abroad long-term and intentionally avoided receiving draft notices
 - Gave false statements to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 Was convicted of violating the Military Service Act
 
If military evasion is confirmed, you will be denied the F-4 visa, and if already granted, it may be canceled, and you may be deported.
5. Required Documents for F-4 Visa (Military Status Review)
You may be asked to submit the following:
| Document | Purpose | 
|---|---|
| Certificate of Military Service | Proof of completion or exemption | 
| Certificate of Nationality Renunciation | Shows timing in relation to draft age | 
| Family & Basic Relationship Certificates | Confirms conscription status | 
| Criminal Background Check | Checks for military law violations | 
| Personal Statement or Legal Opinion | To explain exceptional circumstances | 
6. Special Exceptions
You may still qualify for the F-4 visa without military service if you can clearly prove one of the following:
- You renounced Korean nationality before age 18
 - You lived abroad long enough that no draft notice was delivered
 - You received an official exemption and only then gave up your nationality
 
Even in these cases, you must provide official supporting documents,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ill determine eligibility through case-by-case review.
7. Final Thoughts
Military service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eligibility for the F-4 Overseas Korean visa.
- If you completed service or were legally exempted — you're generally eligible. If you intentionally avoided military duty — F-4 visa issuance will likely be denied.
 
병역의무 이행과 재외동포 자격(F-4)의 관계
대한민국 국적을 이탈하거나 외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 중, 대한민국 병역의무 대상자였던 사람은 F-4 비자 신청 시 병역의무 이행 여부에 따라 자격 부여 여부가 결정됩니다.
즉, 병역을 마쳤거나 면제된 경우에는 F-4 자격 부여가 가능하지만, 병역을 기피하거나 회피한 경우에는 자격 제한이 따릅니다.
1. 관련 법령 근거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조 제1항 제1호 나목
 - 「병역법」 제94조(병역의무 기피 등의 죄)
 - 법무부 [재외동포 체류자격 심사기준 지침]
 
2. F-4 비자 부여 기준 (병역 관련)
| 구분 | F-4 자격 가능 여부 | 비고 | 
|---|---|---|
| 병역 이행 (현역, 사회복무요원 등) | ⭕ 가능 | 병역의무 충실히 이행한 경우 | 
| 병역 면제자 (질병, 연령 등) | ⭕ 가능 | 면제사유 증빙 필요 | 
| 병역 기피, 불이행자 | ❌ 불가 | 형사처벌 대상 또는 영구 제한 가능 | 
| 병역 미이행자 (이탈 후 만 37세 미만) | ⚠️ 제한 가능 | 심사 시 개별 판단 | 
3. 병역기피 판단 기준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할 경우, 병역 회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병역의무 기간 중 고의적으로 국적 이탈 또는 외국 국적 취득
 - 병역 회피를 목적으로 장기 해외 체류 및 귀국 거부
 - 병무청 또는 법무부에 병역 관련 사실을 허위 진술
 - 병역법 위반으로 형사처벌 이력 있음
 
병역 회피 사실이 적발되면 F-4 자격은 부여되지 않으며, 이미 발급된 경우에도 체류자격 취소 및 출국 조치 가능
4. 병역 관련 서류제출 안내
F-4 신청 시, 병역 관련 판단을 위해 아래 서류를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 서류명 | 설명 | 
|---|---|
| 병적증명서 | 병역이행 또는 면제 여부 확인용 | 
| 국적이탈/상실일자 확인서 | 병역 회피 여부 판단 기준 | 
|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 병역의무자 여부 판단 | 
| 범죄경력증명서 | 병역법 위반 여부 확인 | 
| 사유서 또는 행정사 의견서 | 예외 사유 소명 필요 시 제출 | 
5. 예외 사례
다음과 같은 사유가 명확히 입증되는 경우에는 병역 이행 없이도 F-4 자격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 만 18세 이전에 국적 상실 또는 이탈한 경우
 - 외국 국적 취득 후 장기 해외거주로 병역통지 자체를 받지 못한 경우
 - 병역 면제 처분을 받은 후 국적 이탈한 경우
 
단, 반드시 공식적인 증명서류로 정당성을 입증해야 하며, 법무부의 개별 심사 결과에 따라 승인 여부가 달라집니다.
6. 결론
병역의무는 F-4 재외동포 자격 부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병역을 이행하거나 정당하게 면제받았다면 자격 부여에 문제가 없지만, 병역 회피 또는 고의적인 국적 이탈로 판단되면 F-4 비자 취득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