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de to Reporting Changes to Alien Registration and Residence Address in Korea
1. Legal Basis
- Immigration Control Act Article 35 (Reporting of Changes in Registered Matters)
-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rticle 78
- Immigration Procedure Manual Chapter 7
2. What Is a Change of Alien Registration?
Foreigners staying long-term in Korea are legally required to report any changes to their registered information within a certain period. This applies to anyone holding an Alien Registration Card (ARC).
Major Changes That Must Be Reported:
Category | Change Example |
---|---|
Personal details | Name, gender, date of birth, nationality (as shown in new passport) |
Passport details | New passport number, issue date, expiration date |
Visa information | Change of visa type or stay period |
Affiliation | Change of employer, university, or institution |
Residential address | Treated as a separate and mandatory category |
3. What Is a Change of Address Report?
When a foreigner moves to a new residence in Korea, they must report the change to immigration within 14 days of the move.
Who Must Report?
- All registered foreigners with long-term visas (F-6, D-2, E-7, F-4, etc.)
- Children born in Korea who later receive registration
- Refugee applicants and holders of humanitarian stay
4. Reporting Deadlines
Type of Change | Deadline |
---|---|
Alien Registration Info | Within 14 days of the change |
Residential Address | Within 14 days of the move |
⚠ Late reporting may result in a fine of up to KRW 1,000,000
5. How to Report
Method | Description |
---|---|
In-person | Visit the local Immigration Office (appointment recommended) |
Online | HiKorea website (membership required) |
Through representative | With a Power of Attorney and valid ID |
Via host institution | Schools (for D-2 holders) or employers (for E-7, D-4, etc.) may assist |
6. Required Documents
(1) For Changes to Registration Details
Document | Purpose |
---|---|
Alien Registration Card | Original required |
Passport | To confirm the change |
Proof of change | E.g., name change certificate, new passport, employment letter |
Change Notification Form | Available at Immigration or HiKorea website |
(2) For Change of Address
Document | Purpose |
---|---|
Alien Registration Card | Original required |
Rental contract or housing confirmation | To verify new residence |
Address Change Form | Available online or at Immigration Office |
Additional documents like Letter of Consent from householder or residency confirmation may be required for shared housing situations.
7. Penalties and Consequences
Violation | Fine |
---|---|
Late or non-reporting | KRW 100,000 – 1,000,000 |
Intentional omission | May affect visa extension or future applications |
Repeat offenses or serious violations may result in deportation or entry bans.
8. Practical Tips
- Always keep a copy of your report confirmation (especially when submitting online).
- Request an official receipt or certificate of address change when possible.
- For students (D-2), universities often assist with group reports.
- Reporting online via HiKorea is fast and avoids long wait times.
Conclusion
Reporting changes to alien registration and address is not optional—it is a legal obligation under Korean law. Failure to report can result in fines, visa restrictions, or even forced departure from Korea.
Be sure to report any change within 14 days and prepare the correct documents in advance.
1. 법적 근거
- 「출입국관리법」 제35조(등록사항의 변경 신고)
-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78조
- 「출입국사무처리지침」 제7장
2. 외국인 등록사항 변경 신고란?
외국인이 체류 중 다음과 같은 등록사항에 변경이 생긴 경우, 일정 기간 내에 관할 출입국·외국인청에 신고해야 하는 의무입니다.
주요 변경사항
항목 | 변경 시 신고대상 여부 |
---|---|
성명, 성별, 생년월일, 국적 | O (여권상 변경 반영) |
여권 번호, 발급일자, 만료일자 | O |
체류자격 또는 체류기간 | O (사증 없이 체류자격 변경 등 포함) |
체류 목적 관련 사항 (소속기관, 직장, 학교 등) | O |
체류지(주소) | O (별도 항목, 중요) |
3. 체류지 변경 신고란?
외국인이 이사 등을 통해 거주지 주소가 변경된 경우, 반드시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적용 대상
- 외국인 등록자 (체류자격 소지자 전원)
- 국내 출생 외국인 자녀 등록 후
- 장기체류 외국인 포함 (F-6, E-7, D-2, F-4 등)
4. 신고 기한
변경 내용 | 신고 기한 |
---|---|
등록사항 변경 | 변경일로부터 14일 이내 |
체류지 변경 | 이사일로부터 14일 이내 |
기한 내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최대 100만원 이하
5. 신고 방법
방법 | 설명 |
---|---|
방문신고 | 관할 출입국·외국인청 방문 후 신고 (예약 권장) |
온라인신고 | 하이코리아 홈페이지 이용 (회원가입 필요) |
대리신고 |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 지참 시 가능 |
위탁기관 신고 | 대학(유학생), 고용주(취업자) 등을 통한 신고 가능 |
6. 제출서류
(1) 등록사항 변경 신고 시
서류 | 설명 |
---|---|
외국인등록증 | 원본 제출 |
여권 | 변경사항 확인용 |
변경을 입증할 서류 | 예: 개명 시 출생증명서, 새 여권, 소속변경 증명 등 |
변경신고서 | 출입국청 비치 또는 온라인 작성 |
(2) 체류지 변경 신고 시
서류 | 설명 |
---|---|
외국인등록증 | 원본 제출 |
임대차 계약서 또는 거주확인서 | 주소 변경 확인용 |
체류지 변경신고서 | 하이코리아 또는 출입국청 작성 |
7. 과태료 및 불이익
위반 내용 | 과태료 범위 |
---|---|
신고기한 초과 | 10만 ~ 100만 원 |
고의적 미신고 | 체류기간 연장·자격변경 제한 가능성 |
※ 동일 사안 반복 시 누적 불이익 발생 (예: 비자 갱신 거부, 출국명령 등)
8. 실무 팁
- 온라인 신고 후 결과 출력물을 반드시 보관하세요.
- 신고접수증 발급 가능 (추후 체류연장 시 필요)
- 공동거주자 주소로 등록 시, 세대주 동의서 또는 거주사실확인서 필요
- 유학생(D-2)은 학교를 통해 일괄신고 가능
결론
외국인 등록사항과 체류지 변경 신고는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닌,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신고 누락이나 지연은 체류자격 유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반드시 14일 이내에 관련 서류를 구비해 신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