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F-4 Visa for Overseas Koreans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3 hours ago

✅ 1. Overview: F-4 Visa for Overseas Koreans

The F-4 visa is granted to overseas Koreans who are foreign nationals but have Korean lineage, such as children or grandchildren of Korean nationals (including those who previously held Korean nationality).

In your case, the granddaughter—a Japanese citizen—intends to apply for the F-4 visa, based on her grandfather, who was reportedly a Korean national but has since passed away, and there are no living relatives who can confirm his nationality.

To proceed, she must prove that her grandfather once held South Korean nationality.


✅ 2. Core Issue: How to Prove the Grandfather’s Past Korean Nationality

Since no formal documentation (e.g., family register, ID) is available and no relatives can testify, the key task is to secure documents that verify the grandfather's Korean nationality and loss of nationality (if applicable).


✅ 3. Documents to Prepare

1. Basic Certificate (기본증명서) or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 (가족관계등록부)

  • These are official Korean documents that prove nationality and familial relationships.
  • If the grandfather was once a Korean national, these may still exist in the Korean civil registry system.
  • Issue: The granddaughter cannot request this directly. A parent (child of the grandfather) must apply, if living.

2. Certificate of Loss of Nationality or Confirmation from Immigration

  • If no Korean family register is found, the applicant may request a "Confirmation of Nationality Loss or Non-Existence" from the Ministry of Justice or immigration office.
  • Submit as much identifying information as possible:
    • Full name (in Korean or Chinese characters, if known)
    • Date of birth
    • Past Korean address (if any)
    • Death certificate (if applicable)
    • Japanese documents (e.g., Koseki Tohon) that reference nationality

3. Japanese Koseki Tohon (戸籍謄本)

  • This is Japan’s family registry, which may indicate:
    • The grandfather's place of birth (Korea)
    • Previous Korean nationality
    • Naturalization to Japanese citizenship
  • Must be translated and notarized in Korean.

4. Supporting or Indirect Documents

  • Korean school diplomas, military service records, residency or ID records from Korea, etc.
  • These do not replace official documents, but may support the case.

✅ 4. Step-by-Step Process

StepDescription
1Attempt to obtain grandfather’s basic certificate or family register via parent (if alive)
2If unavailable, submit a nationality loss confirmation request to Korean immigration
3Obtain and translate the Japanese Koseki Tohon
4Collect indirect documents proving Korean nationality
5Apply for F-4 visa with all available documents

✅ 5. Summary of Required Documents

DocumentNote
Grandfather’s Family Registry (기본증명서)Most important; must be issued in Korea
Japanese Koseki TohonShould indicate Korean origin or nationality history
Grandfather's death certificateIf available
Applicant’s birth certificateTo prove lineage from grandfather
Applicant’s passport and Japanese IDStandard identification
F-4 visa application form & photoStandard F-4 requirements

✅ 6. Important Notes

  • All documents in Japanese must be officially translated and notarized in Korean.
  • If official documents are impossible to obtain, submit a formal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ationality loss with as much supporting information as possible.
  • Incomplete or vague submissions may delay or prevent approval.

✅ 7. Legal References

  • Act on the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 (Articles 5 and 6)
  • Immigration Control Act of Korea
  • MOJ’s F-4 Visa Administrative Manual (updated 2023)
  • Act on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s (for family certificates)

✅ Final Advice

This case heavily relies on proving the grandfather’s prior Korean nationality. If official documents are unavailable, it's highly recommended to consult an administrative scrivener (행정사) or immigration attorney in Korea to assist in retrieving lost records or filing official verification requests.

일본 국적의 손녀가, 한국 국적이었던 조부(할아버지)의 국적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없고, 조부의 가족(친척)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국적 상실과 관련된 자료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 1. 재외동포(F-4) 비자 개요

재외동포(F-4) 비자는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했거나 과거 보유했던 자의 **직계비속(자녀·손자녀 등)**으로서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에게 부여되는 비자입니다. 일본 국적의 손녀가 F-4 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조부가 과거에 대한민국 국적자였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해야 합니다.


✅ 2. 주요 쟁점: 조부의 대한민국 국적 상실 확인 자료

▶️ 국적 상실 확인의 필요성

  • 조부가 생전에 대한민국 국적자였는지 여부가 F-4 비자 심사의 핵심 요소입니다.
  • 그러나 국적을 상실한 사람은 더 이상 ‘국적 보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국적보유 및 상실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가 필요합니다.

✅ 3. 준비해야 할 자료

1. 기본증명서 또는 가족관계등록부

  • 조부가 대한민국 국적을 가졌었다면, **기본증명서(구 호적등본)**나 가족관계등록부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발급처: 대한민국 시·군·구청 (전자정부 민원24 또는 대리인 신청 불가 시 행정사 대행 가능)

※ 사망자의 기본증명서 발급은 손녀가 신청 불가합니다. → 부모(즉, 조부의 자녀)가 살아있다면 부모가 발급 신청 가능


2. 국적상실확인서 또는 국적이탈·상실 관련 기록 유무 조회 신청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청에 「국적상실 신고 또는 등록여부에 대한 사실조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이 경우,
    • 조부의 성명, 생년월일, 과거 주소지 등 가능한 정보를 최대한 제출
    • 관련 증빙자료(사망진단서, 일본 戶籍謄本 등) 첨부

3. 조부의 일본 내 戶籍謄本(호적등본)

  • 일본 호적에는 조부의 과거 국적(대한민국) 및 국적 취득/상실 관련 기록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일본 시청(市役所) 등에서 발급 가능
  • 번역 공증 필수

4. 한국 국적자라는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간접 자료들

  • 조부가 한국 학교를 다녔다는 졸업증명서, 병적증명서, 군복무기록, 주민등록 관련 서류
  • 과거 사용했던 주민등록번호, 병역의무 관련 서류
  • 한국에서 혼인 신고를 했던 기록 등

※ 이 자료들은 보조자료로서 사용 가능하며, 반드시 공식 국적증명서가 필요합니다.


✅ 4. 업무 절차 요약

단계내용
1단계조부의 기본증명서 및 가족관계등록부 발급 시도
2단계불가할 경우, 법무부에 국적상실 사실조회 신청
3단계일본 호적등본(戸籍謄本) 발급 및 번역 공증
4단계간접자료(졸업증명서, 병역서류 등) 확보
5단계손녀의 F-4 비자 신청 시 위 자료 일괄 제출

✅ 5. 제출서류 요약 (핵심)

서류명비고
조부의 가족관계등록부 또는 기본증명서발급 가능 시 필수
국적상실 확인 요청 결과 통지서발급 불가 시 대체
일본 호적등본(戸籍謄本)국적상실 기록 포함 여부 확인, 공증 번역 필요
손녀의 가족관계 입증 서류 (출생증명서 등)조부와의 관계 입증
손녀의 여권 및 일본 주민표(住民票) 등신분증명서
비자신청서, 사진 등 일반서류F-4 비자 공통 제출서류

✅ 6. 서류 작성 시 주의사항

  • 모든 일본어 서류는 공증된 한국어 번역본을 첨부해야 합니다.
  • ‘사망자’인 조부의 서류는 손녀가 직접 발급이 어려울 수 있음 → 손녀의 부모(조부의 자녀)가 살아있을 경우 그를 통해 발급 요청
  • 정보가 불충분할 경우, 최대한 정황자료 확보 후 법무부에 사실조회 요청을 통해 국적 상실 여부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7. 관련 법령 및 행정지침 참고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6조
  • 「출입국관리법」 및 동법 시행령
  • 법무부 ‘외국국적동포 업무매뉴얼’ (2023년 개정)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마무리 조언

해당 사안은 국적 상실 자료의 확보가 가장 핵심입니다. 자료 확보가 어려울 경우, 행정사의 도움을 받아 국적상실 사실조회 등 정식 행정절차를 밟는 것이 안전합니다.

필요시



Logo
© 2025 The K Administrative Agency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