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loss and possible restoration of F-5 (Permanent Resident) status upon re-entry into Korea: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5 hours ago

Re-entry of F-5 (Permanent Resident) Status Holders After Status Expiry

Detailed Guide Based on Article 30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Article 44-2 of the Enforcement Rule


1. Legal Basis & Overview

According to Article 30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Article 44-2 of its Enforcement Rule, even if a foreign national has obtained F-5 (permanent resident) status, the status may be automatically invalidated if they fail to re-enter Korea within the permitted re-entry period.

● Re-entry Validity Criteria

  • Without re-entry permit: Must return within 2 years of departure
  • With re-entry permit: Must return before the permit expires

If the foreign national fails to re-enter within this period, the F-5 status is considered lapsed under Korean immigration law.


2. Procedure Upon Re-entry After F-5 Status Lapse

When a former F-5 holder re-enters Korea after the authorized re-entry period has expired, they are not recognized as a permanent resident. Instead, they are granted a temporary stay status.

● Temporary Status Assigned at Port of Entry

Traveler CategoryTemporary Status Granted
Dual nationalsShort-Term Visit (C-3, 90 days)
Non-dual nationalsVisa Waiver (B-1) or Transit (B-2)

→ These statuses do not allow long-term stay or employment, and are only for short visits.


3. Exceptions for Reinstating F-5 Status

Despite the lapse of F-5 status, immigration offices may exceptionally allow a status change back to F-5 if the individual re-entered within a reasonable time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 Recognized Unavoidable Circumstances

  1. Serious illness or unexpected accident
    • Documented medical emergencies that prevented timely return
  2. Transportation delays
    • Flight or ship delays that caused entry to be up to 10 days late
  3. Force majeure
    • Natural disasters, political unrest, war, or other uncontrollable events

→ If re-entry occurs within 6 months from the expiration of the re-entry permit, the applicant may apply for restoration of F-5 status at the local immigration office.


4. Application Procedure & Required Documents

Step ①: Entry with temporary visa

  • Upon arrival, F-5 status is not recognized
  • A short-term status (C-3, B-1, or B-2) is granted

Step ②: Apply for Status Change to F-5

Where: Local Immigration Office (based on address) When: As soon as possible (must be within 6 months of permit expiration)

Required Documents:

  • Application for Change of Status of Stay
  • Entry and exit records
  • Supporting documents explaining the unavoidable reason (e.g., medical certificate, flight delay report)
  • Passport and Alien Registration Card
  • Any other documents requested by immigration authorities

5. Practical Considerations

  • F-5 status automatically lapses without additional notice if re-entry is not completed in time
  • Exceptional approval depends on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documents proving unavoidable circumstances
  • To avoid complications, always apply for re-entry permits for absences longer than expected
  • False documents or misstatements may lead to denial or future revocation of status under Article 89-2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6. Related Case Law & Legal Interpretations

  • Seoul Administrative Court 2018GuHapxxxx: Approved F-5 status restoration due to emergency cancer treatment abroad
  • Ministry of Justice Interpretation (May 2022): Re-entry delays of up to 10 days due to flight cancellations are acceptable if well-documented

7. Conclusion

F-5 permanent residents must manage their re-entry deadlines carefully. Failure to return within the authorized period—even unintentionally—results in the loss of permanent resident status.

However, if re-entry occurs within 6 months of the deadline due to unavoidable reasons, there is a path to apply for restoration of the F-5 status. To succeed, prepare clear evidence (medical records, flight delay documents, etc.) and submit your request at the local immigration office without delay.

영주(F-5) 체류자격 상실자에 대한 재입국 및 체류자격 재부여 절차


1. 법적 근거 및 개요

출입국관리법 제30조(재입국허가) 및 동법 시행규칙 제44조의2(재입국허가 면제기준)에 따르면, 영주자격(F-5)을 가진 외국인은 출국 후 일정 기간 내에 대한민국에 재입국해야 합니다.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설사 영주자격이 유효하더라도 자동으로 체류자격이 상실됩니다.

● 재입국 기준

  • 재입국허가 면제자: 출국일로부터 2년 이내
  • 재입국허가를 받은 자: 허가된 기한까지

→ 이 기간을 초과하여 재입국하지 않은 경우, 출입국관리법상 영주자격은 실효(失效)됩니다.


2. 영주자격 상실 이후의 입국 절차

● 입국 시 부여되는 임시 체류자격

입국심사 시 F-5 체류자격은 이미 상실된 상태이므로, 다음과 같은 임시 자격이 부여됩니다.

대상자체류자격 부여
복수국적자단기방문(C-3, 90일)
비복수국적자사증면제(B-1) 또는 관광통과(B-2)

→ 이 자격은 단기 체류만 가능하며, 장기체류 활동(취업, 사업, 학업 등)은 불가능합니다.


3. 부득이한 사유에 따른 예외 인정

다음과 같은 정당한 사유가 입증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영주자격(F-5)**으로의 체류자격 변경 신청이 가능합니다.

● 인정 가능한 부득이한 사유

  1. 급작스러운 질병 또는 사고
    • 중대한 건강상의 이유로 재입국허가 기한을 지키지 못한 경우
  2. 항공기 또는 선박 결항, 연착 등
    • 재입국 기한 초과가 10일 이내이고, 교통수단의 지연을 입증할 수 있는 경우
  3. 기타 불가항력 사유
    • 자연재해, 전쟁, 재난, 정세불안 등 입국 불가 사유

→ 위 사유로 재입국 허가기간을 초과하였으나, 허가기간 만료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입국한 자는 체류지 관할 **출입국·외국인관서(청·사무소·출장소)**에 예외적으로 영주자격 회복 신청이 가능합니다.


4. 절차 및 구비서류

① 입국 후 단기 체류자격 부여

  • 공·항만 출입국심사대에서 영주자격 상실 확인
  • 단기자격(C-3, B-1 등) 부여

② 체류자격 변경 신청

  • 신청장소: 체류지 관할 출입국·외국인청
  • 신청기한: 입국일로부터 빠를수록 좋음 (6개월 이내 입국이 전제 조건)
  • 제출서류:
    • 체류자격변경허가 신청서
    • 입국기록
    • 부득이한 사유 입증자료 (진단서, 항공권, 공문 등)
    •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 기타 출입국청에서 요구하는 보완서류

5. 행정실무상 유의사항

  • 영주자격 상실 여부는 입국 시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출국 전 재입국기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부득이한 사유에 따른 구제는 예외적 조치이므로 입증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핵심입니다.
  • 입국 전 체류자격 유지를 위한 사전 재입국허가 신청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소홀히 하면 불이익이 큽니다.
  • 허위 진술 또는 서류 제출 시 체류허가 거절 또는 추후 **영주자격 취소(출입국관리법 제89조의2)**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관련 판례 및 유권해석

  • 서울행정법원 2018구합xxxx 판결: “장기간 해외 체류 중 암 진단 및 수술로 인해 입국지연된 외국인의 영주자격 회복을 허용한 사례”
  • 법무부 유권해석(2022.5): “10일 이내 입국 지연 및 항공기 결항 증명은 정당한 사유로 인정 가능”

7. 마무리

영주자격을 가진 외국인의 경우, 단순한 기한 초과로 인해 자격이 상실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인식해야 합니다. 특히 재입국 기간 관리 소홀은 향후 영주권 유지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출국 전 재입국허가 여부 확인과, 장기 체류 시 재입국 기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만약 부득이한 사정으로 기한을 초과했다면, 최대한 빠르게 입국하여 입증자료를 갖추고 출입국 관서에 정중히 영주자격 회복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Logo
© 2025 The K Administrative Agency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