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lifting the entry ban on humanitarian grounds for foreigners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7 hours ago

1. Legal Basis

  • Article 11(1)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Korea): Certain foreign nationals, such as those with criminal records or deportation history, may be subject to entry bans.
  • Article 1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The Minister of Justice may exceptionally allow entry if there are humanitarian reasons or significant national interests.

2. Examples of Humanitarian Reasons

Entry ban may be lifted in the following exceptional humanitarian circumstances:

  • Death or critical illness of a direct family member (parents, spouse, child)
  • The applicant themselves requires urgent medical treatment available only in Korea
  • The applicant must care for or protect a minor child in Korea
  • Urgent legal matters, such as custody, inheritance, or litigation

The humanitarian grounds must be clearly documented and the urgency must be proven. Simple visits or business purposes are not considered sufficient.


3. Application Procedure

To request permission to enter Korea on humanitarian grounds while under an entry ban, follow this process:

① Submit an Entry Permission Request

  • Submit the application to a Korean Immigration Office or Korean Embassy/Consulate abroad
  • Approval is granted only by the Minister of Justice

② Required Documents

  1. Application form for entry permission
  2. Written statement of humanitarian reason (by the applicant or their representative)
  3. Supporting documents proving the humanitarian reason (e.g., death certificate, medical diagnosis,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
  4. Documents from a Korean sponsor, if applicable (e.g., ID copy, residence certificate)
  5. Detailed stay plan, including return flight reservation
  6. Previous immigration records, copy of the entry ban notice (if available)

4. Review and Approval Criteria

  • Applications are strictly reviewed
  • Approval is discretionary by the Ministry of Justice
  • Applications may be rejected if the applicant has a serious deportation history or provides false information
  • Even if approved, the length of stay will be minimized, and no activities beyond the stated purpose are permitted

5. Important Notes

  • Individuals under an entry ban cannot apply for regular visas or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K-ETA) unless granted prior approval
  • Without pre-authorization, airlines may deny boarding
  • Even with approval, immigration officers at the port of entry have the right to deny final entry, so all documents must be carried on the travel date

Conclusion

Entry bans are typically enforced strictly. However, if there are clear and urgent humanitarian reasons, the ban may be lifted through special permission by the Minister of Justice. In such cases, the applicant mus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a reliable sponsor, and a detailed travel plan including proof of intent to leave Korea after the stay.

In complex or sensitive situations (e.g., deportation history, legal disputes), legal representation or an immigration specialist is highly recommended. An administrative appeal or lawsuit may also be considered in case of denial.

입국금지자의 인도적 사유에 따른 입국금지 해제는 「출입국관리법」 및 관련 지침에 따라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조건과 절차를 충족해야 합니다.


1. 관련 법령 근거

  • 출입국관리법 제11조 제1항: 범죄, 강제퇴거 등 일정 사유에 해당하는 외국인은 입국금지 대상이 될 수 있음
  •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제12조: 법무부장관은 인도적 사유 또는 국익에 상당한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입국을 허가할 수 있음

2. 인도적 사유의 예시

아래와 같은 경우, 법무부는 예외적으로 입국금지 해제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 직계가족(부모, 배우자, 자녀 등)의 사망, 중증 질병 등 위급한 상황
  • 중대한 의료적 사유로 본인이 한국 내 병원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 자녀의 양육, 학업 등 보호자가 필요한 특별한 상황
  • 긴급한 법적 문제 (친권, 상속 등)

이러한 사유는 명확한 서류 증빙과 사유의 시급성이 입증되어야 하며, 단순한 방문 또는 상업적 목적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3. 신청 절차

입국금지자의 인도적 사유 입국을 신청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① 입국허가 신청

  • 대상자 또는 대리인대한민국 재외공관 또는 출입국·외국인청입국허가 신청서 제출
  • 법무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입국 가능

② 필요 서류

  1. 입국허가 신청서
  2. 입국금지 해제 요청 사유서 (자필 또는 대리인 작성)
  3. 인도적 사유를 입증할 자료 (예: 병원 진단서, 사망진단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4. 보증인 서류 (보증인의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사본 등)
  5. 체류 계획서귀국 예정일이 포함된 항공권 예약내역
  6. 출입국 사실증명서, 기존 입국금지 결정 통보서 사본

4. 심사 및 허가 기준

  • 심사는 엄격하며, 허가는 법무부 장관의 재량사항입니다.
  • 허위 사실이 확인되거나 과거 강제퇴거 사유가 중대할 경우 불허될 수 있습니다.
  • 입국 허가가 승인되더라도 체류 기간은 최소한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목적 외 활동은 불허됩니다.

5. 주의사항

  • 입국금지자는 원칙적으로 전자사증(K-ETA), 일반사증 모두 신청 불가하며, 별도 입국허가 없이는 입국 불가합니다.
  • 법무부의 사전 입국허가 없이는 비행기에 탑승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 입국허가가 부여되더라도, 입국심사 단계에서 최종 입국이 거부될 수 있으므로 심사당일 준비서류를 지참해야 합니다.

결론

입국금지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입국이 제한되지만, 명백하고 시급한 인도적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법무부의 특별허가를 통해 입국금지가 해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충분한 증빙자료신뢰성 있는 보증, 출국 예정 등을 포함한 명확한 체류계획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안이 있을 경우(예: 특정인의 강제퇴거 이력, 과거 체류이력 등),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법무부 질의 또는 대리 행정사가 준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