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turalization Test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Nationality Acquisition) in South Korea
1. What Is the Naturalization Test?
The Naturalization Test, officially calle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Nationality Acquisition”, is an examination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a foreigner has the language ability and social knowledge necessary to become a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a mandatory requirement for most general and simplified naturalization applicant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12.
2. Legal Basis
- Nationality Act: Articles 5 (general naturalization), 6 (simplified naturalization), 7 (special naturalization)
- Nationality Affairs Guidelines
- Social Integration Program (KIIP) Operation Guidelines
3. Who Must Take the Test?
Applicant Type | Required to Take Test? |
---|---|
General Naturalization | Yes — mandatory |
Simplified Naturalization | Usually — unless exempt |
Special Naturalization | Usually exempt (e.g., adoptees, those with national merit) |
Note: Completion of the KIIP (Social Integration Program) Level 5 may substitute for this test.
4. Test Components
The test consists of two parts:
A. Written Exam (60 points total)
- Korean language proficiency (vocabulary, grammar, reading)
- Knowledge of Korean history, politics, law, and society
-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and citizenship rights
B. Interview (40 points total)
- Verbal communication in Korean
-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values
- Motivation for naturaliza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Total Score: 100 points Written: 60 pts | Interview: 40 pts
5. Passing Criteria
- Minimum total score: 60 out of 100
- No fixed minimum for written or interview separately
- However, poor Korean communication skills can result in disqualification even if the total score is high
6. How to Apply
Item | Details |
---|---|
Where to Apply | www.socinet.go.kr (Social Integration Info Network) |
Frequency | Held 4–6 times a year |
Fee | KRW 30,000 |
Test Locations | Immigration offices and designated exam centers nationwide |
Note: You must complete a KIIP placement test or prior evaluation before applying for the naturalization test.
7. Who Can Be Exempt or Substitute the Test?
Condition | Exemption or Replacement |
---|---|
Completed KIIP Level 5 | Fully replaces the test |
Over 60 years of age | May be exempt from written exam or entire test |
With disabilities or illness | Partial or full exemption (with medical documents) |
Long-term residents born in Korea | Case-by-case exemption possible |
8. How to Prepare
- Enroll in KIIP (Social Integration Program): It teaches Korean language and Korean society fundamentals
- Study past exam questions: Available through MOJ and KIIP materials
- Take practice tests: Simulate test environment and time limits
- Prepare for the interview: Be ready to explain your life in Korea, work, family, and naturalization goals
9. Important Notes
- Cheating or fraud during the exam can result in disqualification and rejection of your application
- You can retake the test multiple times; no limit on attempts
- Your test record is directly used during citizenship screening by the Ministry of Justice
Conclusion
The naturalization test is a crucial part of the Korean citizenship process, evaluating not only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your understanding of Korean values, systems, and lifestyle.
Success depends on structured preparation, particularly by combining the test with the KIIP program. This not only improves your chances but also helps with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1. 귀화시험이란?
귀화시험이란,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고자 하는 외국인이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정식 명칭은 **‘국적취득 종합평가’**이며,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2. 법적 근거
- 「국적법」 제5조(일반귀화), 제6조(간이귀화), 제7조(특별귀화)
- 「국적업무처리지침」 및 법무부 고시
-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지침」
3. 시험 대상자
구분 | 시험 대상 여부 |
---|---|
일반귀화자 | 반드시 응시 |
간이귀화자 | 대부분 응시 (일부 면제) |
특별귀화자 | 대부분 면제 (예: 입양아, 국익기여자 등) |
※ 단,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이수자 중 일부는 종합평가를 대체할 수 있음
4. 시험 구성
① 필기시험 (40문항, 객관식 + 단답형)
- 한국어 능력 (어휘, 문법, 독해 등)
- 한국의 역사, 정치제도, 사회문화, 법질서
- 헌법 및 기본권 이해 등
② 면접시험 (5~10분)
-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 사회 규범 이해도
- 귀화 동기 및 정착 의지
총점 100점 기준, 필기 60점 + 면접 40점
5. 합격 기준
- 총점 60점 이상
- 필기·면접 각각 최저점 기준 없음 (종합평가로 판단)
- 다만,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경우 불합격 처리될 수 있음
6. 시험 응시 방법
항목 | 내용 |
---|---|
접수처 | 사회통합정보망 (www.socinet.go.kr) |
접수기간 | 연 4~6회 정기 시행 (홈페이지 공지 참고) |
응시료 | 30,000원 |
시험장소 | 전국 주요 출입국·외국인청 또는 지정 시험장 |
※ 시험 응시 전 반드시 사회통합프로그램 사전평가 또는 단계 배정이 필요함
7. 면제 또는 대체 요건
다음의 경우, 종합평가가 면제되거나 대체될 수 있습니다.
항목 | 면제 또는 대체 기준 |
---|---|
KIIP 5단계 이수자 | 별도 시험 없이 귀화 가능 (종합평가 대체) |
만 60세 이상 고령자 | 면접만 시행하거나 면제 가능 |
장애인, 질병자 | 시험 일부 면제 가능 (진단서 제출 시) |
장기체류자 중 한국 출생 | 개별 판단에 따라 일부 면제 가능 |
8. 시험 준비 방법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참여 권장 → 단계별 한국어 교육 + 한국 사회 이해 과목 포함
- 기출문제 분석 → 법무부 홈페이지 및 교재 참조
- 모의고사 응시 → 실제 시험과 유사한 환경 연습 가능
- 면접 대비 실전연습 → 귀화 동기, 직업, 가족관계, 한국생활 등 예상질문 정리
9. 기타 유의사항
- 부정행위 적발 시 응시 제한 및 귀화신청 반려 가능
- 시험 불합격 시 재응시 가능, 제한 횟수 없음
- 응시 이력은 법무부 귀화심사에 직접 반영되므로 성실히 준비 필요
결론
귀화시험은 단순한 한국어 능력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가치와 사회질서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핵심 절차입니다. 정확한 정보와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충분히 통과할 수 있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병행 준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