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de to Reporting a Change of Workplace for Foreigners in Korea
1. Overview of Workplace Change Reporting
- Who must report: Foreigners holding work-eligible visas (e.g., E-1 Professor, E-2 Conversation Instructor, E-7 Special Occupation, E-9 Non-professional Employment, H-2 Working Visit, etc.)
- When to report:
- When transferring to a new employer/workplace
- When the workplace address changes (even with the same employer)
- When adding an additional workplace
2. How to Report
- Online application: Through HiKorea (www.hikorea.go.kr) electronic civil service system
- Login → Apply for Civil Petition → Stay-related Services → “Report of Workplace Change/Addition” → Upload documents → Pay the fee
- In-person application: Visit the competent Immigration Office (branch or local office) directly
- Through an agent: An administrative scrivener or licensed immigration service agency may file on your behalf
3. Required Documents
(The exact requirements may vary depending on visa type)
- Report Form (Workplace Change/Addition Report Form – available at the Immigration Office or HiKorea)
- Alien Registration Card (ARC) or Residence Card (original)
- Passport (original)
- Employment contract (must clearly state job title, duties, employer, and workplace address)
-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of the new workplace)
- Proof of social insurance enrollment (e.g., Employment Insurance or 4 major insurances, if requested)
- Other documents: Depending on visa type (e.g., E-7 requires academic/experience certificates, E-9/H-2 requires Employment Permit System approval, etc.)
4. Process and Processing Time
- Application submission → 2. Review (work eligibility, visa requirements) → 3. Approval and update of registration information
- Usually processed within 2 weeks, but delays may occur if supplementary documents are required.
- Once approved, the new workplace will be printed on the back of the Alien Registration Card.
5. Important Notes
- Advance reporting required: Must report before starting work at the new workplace. Late reporting may result in fines.
- Not all changes allowed: If the new job does not match the permitted visa category, the change may be denied.
- Prohibition of false documents: Submitting forged contracts or fake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s may result in deportation or entry ban.
- Check visa validity: When reporting a change of workplace, ensure that your period of stay is still valid, and apply for an extension if necessary.
6. Conclusion
To maintain legal employment in Korea, foreigners must properly report any change of workplace. The employment contract and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are mandatory, and additional documents may apply depending on the visa type. For smooth processing, it is advisable to consult with the Immigration Office or a licensed administrative scrivener in advance.
외국인이 한국에서 취업활동을 하는 경우, 고용주나 근무처가 변경되면 반드시 근무처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출입국관리법」 제36조(변경신고의무)에 따른 의무사항이며, 신고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부과 또는 불법취업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절차와 구비서류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근무처 변경신고 개요
- 대상자: 취업활동이 가능한 체류자격(E-1 교수, E-2 회화지도, E-7 특정활동, E-9 비전문취업, H-2 방문취업 등)을 가진 외국인
- 신고 사유:
- 새 사업장으로 이직한 경우
- 동일 고용주이지만 사업장 소재지가 변경된 경우
- 근무처를 추가로 등록해야 하는 경우
2. 신고 방법
- 온라인 신청: 하이코리아(www.hikorea.go.kr) 전자민원 접수
- 로그인 → 민원신청 → 체류민원 → “근무처 변경·추가 신고” 선택 → 서류 업로드 → 수수료 납부
- 방문 신청: 관할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출장소) 직접 방문
- 대리 신청: 행정사 등 출입국민원 대행기관을 통한 대리 접수 가능
3. 제출 서류
체류자격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이 필요합니다.
- 신고서 (근무처 변경·추가 신고서, 출입국·외국인청 비치 또는 하이코리아 양식)
- 외국인등록증(거소신고증) 원본
- 여권 원본
- 고용계약서 사본 (근무조건, 고용주, 사업장 주소, 직무 등이 명확히 기재된 것)
- 사업자등록증 사본 (새 근무처)
- 고용보험 가입 확인서 또는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요구되는 경우)
- 기타: 체류자격별 요건서류 (예: E-7 전문인력은 학력·경력증명서, E-9/H-2는 고용허가서 등)
4. 절차 및 처리기간
- 민원 접수 → 2. 심사(고용 적정성, 체류자격 요건 확인) → 3. 승인 및 등록사항 변경
- 보통 2주 이내 처리되며, 보완 요청이 있을 경우 기간이 연장될 수 있음.
- 승인되면 외국인등록증 뒷면에 새로운 근무처가 기재됨.
5. 주의사항
- 사전신고 원칙: 근무 시작 전에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사후신고는 과태료 대상.
- 허용되지 않는 변경: 체류자격에서 인정하지 않는 업종으로 변경 시 불허 처리될 수 있음.
- 허위서류 제출 금지: 위조 계약서, 가짜 사업자등록증 제출 시 강제퇴거·입국금지까지 가능.
- 체류기간 만료 주의: 근무처 변경신고와 동시에 체류기간 연장 여부를 함께 확인해야 함.
6. 결론
외국인이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근무하기 위해서는 근무처 변경신고를 정확히 이행해야 합니다. 특히 고용계약서와 사업자등록증은 필수 제출서류이며, 체류자격별 추가 요건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출입국·외국인청 또는 전문 행정사에게 사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