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Documents to Prove Marital Breakdown when applying for Simplified Naturalization as a spouse of a Korean national whose marriage has ended

Eunsun Park
Eunsun Park
1 day ago

1. Legal Background

Under Article 5(2) of the Korean Nationality Act, foreign spouses of Korean nationals who are no longer in a marital relationship (due to divorce or separation) may still qualify for simplified naturalization—if they meet certain conditions, including proving that the marriage has substantively ended.

This provision is designed to protect foreign spouses who have lost their marital relationship through no fault of their own (e.g., due to abuse, abandonment, or domestic violence) but who have established a stable life in Korea.


2. What Is Considered a Marital Breakdown?

A “marital breakdown” means the practical and permanent end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ven if the couple is still legally married.

  • Valid reasons include:
    • Divorce
    • Long-term separation
    • Spouse’s abandonment or disappearance
    • Domestic violence
    • The Korean spouse has remarried

3. Key Documents to Prove Marital Breakdown (Depending on Circumstances)

A. If You Are Divorced

  • Divorce judgment and certificate (if contested)
  • Confirmation of divorce (for uncontested divorces)
  • Child custody orders (if applicable)

B. If You Are Separated / Abandoned / No Contact

  •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 (showing different addresses)
  • Delivery of letters via registered mail or returned mail notices
  • Police reports or missing person reports
  • Witness statements (must include real names and contact info)
  • Counseling center records or social worker reports

C. If There Was Domestic Violence or Abuse

  • Medical report or injury diagnosis
  • Police report of domestic violence
  • Court-issued restraining or protection orders

D. If the Korean Spouse Has Remarried

  • Their current family relation certificate showing a new marriage
  • Birth certificates of new children (if applicable)

4. Other Supporting Factors

FactorExplanation
ChildrenHaving a Korean child and actual child-rearing increases approval likelihood
Duration of StayLong-term residence and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is favorable
Financial IndependenceProof of stable income, employment, or assets is required
Criminal RecordNo serious crimes or immigration violations in the last 5 years

5. Important Cautions

  • Fake divorces or fake separations (e.g., paper divorce but still living together) are grounds for rejection or cancellation of Korean nationality
  • The credibility of documents is critical—official documents carry more weight than personal statements alone
  • Authorities may conduct interviews or home investigations to verify facts

6. Conclusion

To successfully apply for simplified naturalization as a former spouse, you must submit clear and objective evidence that your marriage has irreversibly ended. If divorce papers are unavailable, evidence of abuse, abandonment, or prolonged separation—such as police reports, official letters, and witness testimony—should be collected.

출입국 상담 가이드의 말:

혼인이 중단된 자(혼인단절자)가 간이귀화를 신청할 때,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혼인이 파탄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이는 「국적법」 제5조 제2항 및 법무부의 국적업무처리지침에 따라, 국민 배우자와의 혼인이 실질적으로 유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혼인기간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한 외국인이 단독으로 국적취득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입니다.


1. 관련 법령 근거

  • 국적법 제5조 제2항
  • 국적업무처리지침 제12조~제14조
  • 대법원 2011.5.13. 선고 2009두2552 판결: 실질적 혼인관계 파탄 여부 판단 기준 관련

2. 혼인파탄이란?

  • 혼인의 실질적 관계가 종료된 상태를 의미
  • 단순 별거나 갈등이 아닌, 혼인생활의 실질적인 유지가 불가능한 상태
  • 배우자의 일방적 유기, 폭력, 가출, 재혼 등

3. 혼인파탄 입증 서류 목록 (사례별)

(1) 이혼한 경우

  • 이혼판결문 및 확정증명서
  • 협의이혼의 경우 이혼확인서
  • 자녀 양육권 관련 판결문 (해당 시)

(2) 별거 상태 / 유기 / 연락두절

  • 주민등록등본 (주소이전 및 실제 거주 내역 확인)
  • 내용증명 우편물 (연락 시도 내역)
  • 경찰 진술서 또는 실종신고서 (가출 시)
  • 지인 진술서 (한글, 실명, 연락처 포함)
  • 상담센터 상담기록지 또는 여성폭력상담소 자료

(3) 폭력 또는 학대

  • 가정폭력 진단서 또는 의사소견서
  • 가정폭력 피해신고 내역서 (경찰서, 112 신고기록 등)
  • 가정폭력으로 인한 보호명령결정문 (법원 제출자료)

(4) 배우자 재혼

  • 배우자의 혼인관계증명서에 ‘재혼’ 기재
  • 가족관계증명서로 자녀 출생사실 확인

4.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사항

항목설명
자녀 존재 여부대한민국 국적 자녀가 있는 경우, 양육 여부도 중요한 판단 기준
국내 체류 기간최소한의 한국 정착성과 사회 적응력 필요
독립된 생계유지능력소득 및 재산, 취업 증명 등 필요
형사처벌 여부최근 5년간 범죄 전력 여부도 중요한 심사 요소

5. 주의사항

  • 허위 이혼, 위장 별거는 적발 시 국적 신청이 거부되며, 부정취득 시 국적취소 대상
  • 서류의 신빙성 확보가 중요 (공문서, 기관발급 우선 / 진술서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음)
  • 사안에 따라 면담조사 또는 현장조사 병행됨

6. 결론

혼인이 파탄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서류를 갖추는 것이 간이귀화 성공의 핵심입니다. 이혼이 아닌 경우, 단순한 진술만으로는 부족하며, 폭력·유기·별거 등을 뒷받침할 제3자 진술서 및 기관 발급 서류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