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nationality applications or declaration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5:

Eunsun Park
Eunsun Park
about 7 hours ago

1.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Other Than by Birth)

Children under 15 may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rough application, typically via naturalization:

Naturalization (General or Simplified)

  • If one parent is a Korean national, the child may be eligible for simplified naturalization.
  • For applicants under 15, the application must be submitted by a legal guardian.
  • Based on Articles 6 to 9 of the Nationality Act (Korea).

2. Renunciation of Korean Nationality (For Dual Nationals)

A child born with dual nationality (e.g., born abroad to a Korean parent and a foreign parent) may apply to renounce Korean nationality under certain conditions:

■ Under 15 years of age

  • May not file the application independently.
  • The application must be made through the legal representative (parent or guardian).
  • Based on Article 12 of the Nationality Act.

■ Application Deadline

  • Dual nationals must generally file the renunciation by March 31 of the year they turn 18.
  • If not, they may be restricted until military obligations are resolved, especially for males.

3. Nationality Retention Report

A dual-national child born abroad who wishes to retain Korean nationality may file a nationality retention report.

  • For those under 15, the report must be filed by a legal guardian.
  • This is used to maintain Korean nationality when not choosing to renounce it, particularly for those living overseas long-term.

4. Nationality Selection (Not Applicable for Under 15)

※ The Nationality Selection Declaration is applicable only to dual nationals over 18, and does not apply to children under 15.


5. Required Documents (Examples)

The following documents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Application TypeRequired Documents
NaturalizationNaturalization application, family relation certificate, birth certificate, parent’s nationality certificate, resident registration, etc.
RenunciationRenunciation form, family relation certificate, foreign nationality document (e.g., passport), legal guardian's consent
RetentionRetention report, birth certificat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proof of nationality acquisition, etc.

※ All foreign-language documents must be submitted with certified Korean translations, and in some cases apostille or notarization is required.


Conclusion

For children under 15, all nationality-related procedures must be handled by their legal guardian. Applications may include naturalization, renunciation of Korean nationality, or retention of nationality in the case of dual nationals.

For dual nationality cases, especially those involving overseas births or military obligations, early planning is essential. For complex cases (adoption, re-acquisition, etc.), it is recommended to consult the Ministry of Justice or a certified immigration/legal expert. Assistance from an administrative attorney is also available.

15세 미만 미성년자의 국적 관련 신청 또는 신고는 「국적법」 및 「국적법 시행령」을 기반으로 하며, 해당 연령에서는 보호자(법정대리인)가 절차를 대행하게 됩니다.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적 취득 신청 (출생에 의한 취득 외)

15세 미만 아동이 한국 국적을 신청을 통해 취득할 수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귀화 신청 (일반귀화, 간이귀화)

  • 일반적으로 부모 중 한 명이 대한민국 국적자인 경우, 자녀는 간이귀화 대상이 됩니다.
  • 15세 미만일 경우 법정대리인이 대리 신청 가능
  • 국적법 제6조~제8조, 제9조 해당

2. 국적 이탈 신고 (복수국적자)

출생으로 대한민국 국적과 외국 국적을 동시에 보유하게 된 미성년자(복수국적자)는 아래와 같은 규정이 적용됩니다.

■ 15세 미만의 경우

  • 국적이탈 신고가 가능하나, 단독으로는 신청 불가
  • 반드시 법정대리인이 대리 신청
  • 국적법 제12조(복수국적자의 국적이탈) 근거

■ 신청기한

  • 일반적으로 만 18세가 되는 해의 3월 31일까지 이탈신고가 없으면, 병역의무 종료 이후에만 국적이탈 가능

3. 국적 보유 신고

해외에서 출생한 후, 한국 국적을 유지하려는 복수국적자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국적보유신고를 통해 한국 국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15세 미만인 경우 보호자 대리신고 가능
  • 출생 직후 국적이탈 신고 없이 장기간 해외 체류 중인 아동이 한국 국적을 계속 유지하려는 의사 표시로 활용됨

4. 국적선택 신고 (해당 없음)

※ 국적선택 신고는 만 18세가 지난 복수국적자에게 해당되므로 15세 미만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5. 필요 서류 (예시)

각 신청 또는 신고 시 필요한 일반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주요 서류
국적취득귀화신청서, 가족관계증명서, 출생증명서, 부모의 국적확인서, 주민등록 등본 등
국적이탈국적이탈신고서, 가족관계증명서, 외국국적증명서(여권 등), 법정대리인 동의서
국적보유국적보유신고서,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국적취득사실 증명자료 등

※ 모든 외국어 서류는 공증 번역본 또는 아포스티유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15세 미만자의 국적과 관련된 절차는 주로 보호자의 대리 신청 또는 신고가 필수이며, 국적취득(귀화), 국적이탈, 국적보유 등 절차별 요건과 필요서류가 상이합니다. 특히 복수국적자의 경우, **병역과 연계된 기한(만18세 기준)**을 고려하여 조기 신고가 중요합니다.

보다 복잡한 사례(해외출생, 입양, 국적이탈 후 재취득 등)는 반드시 법무부(출입국·외국인청) 또는 행정사와 사전 상담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필요시 절차 대행도 가능합니다.



Logo
© 2025 The K Administrative Agency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