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6-1 (Marriage Migrant) Visa – Guide to Extension of Stay
F-6-1 (Marriage Migrant) Visa – Guide to Extension of Stay
1. Legal Basis
The F-6-1 Marriage Migrant Visa is a long-term residence status granted to foreigners who are legally married to a Korean national and maintain a genuine marital relationship.
2. Who May Apply for an Extension
You may apply for an extension of stay if one of the following applies:
| Category | Conditions |
|---|---|
| ① Normal Marriage | You are cohabiting with your Korean spouse and maintaining a real marital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shared finances, etc.). |
| ② Raising a Child | Even after divorce or separation, you are actually raising a child of Korean nationality. |
| ③ Victim of Domestic Violence | You can prove that you suffered physical/sexual abuse and are living separately for safety. |
| ④ Spouse Deceased | You may remain in Korea if your Korean spouse passed away during the marriage. |
| ⑤ Humanitarian Reasons | Pregnancy, childbirth, illness, or other humanitarian reasons. |
3. When to Apply
- You may apply within 90 days before your current stay expires.
- Application must be filed before the expiration date to avoid fines.
- Applications are accepted online via HiKorea or at your local Immigration Office.
4. Required Documents
(As per 2025 MOJ “Stay Management Manual”)
| No. | Document | Notes |
|---|---|---|
| 1 | Application for Extension of Stay (Form No. 34) | Immigration standard form |
| 2 | Passport and Alien Registration Card | Originals required |
| 3 | Korean spouse’s ID copy | Resident registration card or passport |
| 4 | Marriage Certificate / Family Relation Certificate | Issued within 3 months |
| 5 |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 | Must show same address (cohabitation) |
| 6 | Proof of income (spouse) | Tax return, pay slips, employment certificate |
| 7 | Proof of residence | Lease contract or property ownership document |
| 8 | Evidence of marital life | Photos, chat logs, joint bills, joint bank account, etc. |
| 9 | Fee | 60,000 KRW (revenue stamp) |
| 10 | Additional documents | Depending on individual circumstances |
[Additional Documents for Special Cases]
| Case | Additional Documents |
|---|---|
| Raising a child | Child’s birth certificate, custody/guardianship proof |
| Spouse deceased | Death certificate, family certificate |
| Domestic violence | Police report, medical certificate, or court judgment |
| Pregnancy/childbirth | Doctor’s pregnancy or delivery certificate |
| Separation | Proof of financial support, communication, etc. |
5. Review Standards and Duration of Stay
| Case | Period Granted | Remarks |
|---|---|---|
| Normal marriage | 1–2 years | Typical case |
| Over 3 years of marriage + child | 2–3 years | Stable marriage recognized |
| Raising a child / victim of abuse | 1 year | Reviewed annually |
| Pregnancy / childbirth | 6 months – 1 year | Humanitarian consideration |
The Ministry of Justice reviews marital authenticity, economic stability, and settlement level before deciding on the period granted.
6. Important Notes When Preparing Documents
- Addresses must match. Both spouses should appear on the same resident registration address. Different addresses often lead to denial.
- If income is below minimum level: Alternative proof such as part-time income, deposit account, or savings statement may be accepted.
- If marriage is unstable or separated: Submit a statement of circumstances explaining reasons (e.g., domestic violence, pregnancy, etc.) for humanitarian consideration.
- Documents are valid for 3 months. All public certificates must be issued within the last 3 months.
- Never submit forged or false documents. Submitting false statements is grounds for cancellation under Article 89-2 of the Act and may affect future permanent residency or nationality applications.
7. Practical Example
Example Case: Ms. A, a Mongolian F-6-1 holder, has been married to a Korean citizen for 4 years and has a 1-year-old child. The husband earns KRW 20 million per year and has a rental deposit of KRW 30 million.→ The couple demonstrates stable cohabitation and family life. Result: Two-year extension granted.
8. Grounds for Denial
(Article 33, Enforcement Rule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 Sham or broken marriage (no real cohabitation)
- Criminal record or unpaid taxes/fines
- Illegal employment or other violations during stay
- False or forged documents
If denied, you will receive a Notice of Rejection and may file an administrative appeal or lawsuit within 90 days.
9. Summary Table
| Item | Key Point |
|---|---|
| When to Apply | Within 90 days before expiration |
| Main Review Factors | Genuine marriage, financial ability, stable residence |
| Extension Period | 1–3 years depending on circumstances |
| Humanitarian Cases | Pregnancy, childbirth, or abuse – special consideration |
| Essential Documents | Marriage/family certificates, income & residence proof, marital evidence |
| Important Note | Mismatched addresses or missing income proof must be explained |
10. Expert Advice
- The MOJ currently places major emphasis on marital authenticity and financial stability.
- For pregnant or postpartum women, a medical certificate almost always ensures approval on humanitarian grounds.
- Have both spouses sign the statement of reasons together to improve credibility.
- If your extension is denied, you may file a re-review (이의신청) within the same immigration office to seek reversal.
좋습니다. 아래는 결혼이민(F-6-1) 체류기간 연장허가에 대한 행정전문가(행정사) 관점의 설명글입니다. 관련 법령, 실제 심사기준, 서류, 주의사항을 모두 포함했습니다.
F-6-1 결혼이민비자 체류연장 허가 완벽 가이드
1. F-6-1 비자의 법적 근거
한국 국민과의 혼인관계를 유지하며 정상적인 결혼생활을 영위하는 외국인에게 부여됩니다.
2. 체류기간 연장 가능 대상
다음 요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체류연장 허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구분 | 인정 요건 |
|---|---|
| ① 정상 혼인 유지 중 | 한국인 배우자와 실질적 혼인관계 유지 (동거, 공동생활, 경제공동체 입증 가능) |
| ② 자녀 양육 중 | 혼인이 단절되어도, 한국인 자녀를 실제 양육 중인 경우 체류 가능 |
| ③ 폭력 등 피해자 | 가정폭력·성폭력 등으로 이혼 또는 별거한 경우 피해사실 입증 시 체류 허용 |
| ④ 배우자 사망 | 혼인 중 한국인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일정 요건 충족 시 연장 가능 |
| ⑤ 임신·출산 등 인도적 사유 | 혼인 파탄 전후 임신, 출산, 질병 등 인도적 사유가 있는 경우 예외 허용 |
3. 체류연장 신청 시기
- 현재 체류기간 만료일 90일 전부터 신청 가능
- 원칙적으로 만료일 전까지 신청해야 하며, 지연 시 과태료 부과 가능
- 하이코리아(hikorea.go.kr) 또는 관할 출입국·외국인청 방문접수 가능
4. 제출서류 (2025년 7월 개정 체류민원 매뉴얼 기준)
| 구분 | 서류명 | 비고 |
|---|---|---|
| 1 | 체류기간연장허가신청서 | 출입국민원서식 제34호 |
| 2 |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원본 | 유효기간 확인 |
| 3 | 배우자 신분증 사본 | 주민등록증 또는 여권 |
| 4 |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 최근 3개월 이내 발급 |
| 5 | 주민등록등본 | 배우자와의 실거주지 확인용 |
| 6 | 한국인 배우자 소득증빙 | 근로소득원천징수, 급여명세, 사업소득증명 등 |
| 7 | 주거입증서류 | 임대차계약서 또는 주택소유증명 |
| 8 | 결혼생활 입증자료 | 사진, 대화기록, 공동계좌, 공과금 명의 등 |
| 9 | 수수료 | 6만원 (수입인지 납부) |
| 10 | 해당 시 추가 서류 | 아래 참조 |
[특별사유별 추가서류]
| 상황 | 추가 제출서류 |
|---|---|
| 자녀양육 중 | 자녀 기본증명서, 양육사실확인서 |
| 배우자 사망 | 사망진단서, 가족관계증명서 |
| 폭력피해 | 경찰 진단서, 판결문 또는 보호시설 입소확인서 |
| 임신·출산 | 임신확인서 또는 출생증명서 |
| 별거 중 | 교류증거(생활비 송금, 연락내역 등) 첨부 시 일부 연장 가능 |
5. 심사기준 및 체류기간 부여
| 구분 | 연장 가능 기간 | 비고 |
|---|---|---|
| 정상혼인 유지 | 1~2년 | 일반적 사례 |
| 결혼 3년 이상, 자녀 있음 | 2~3년 | 안정적 혼인 인정 시 |
| 자녀양육 또는 피해사유 | 1년 이내 | 매년 재심사 |
| 임신·출산 중 | 출산 및 육아기간 고려 6개월~1년 | 인도적 연장 가능 |
법무부는 결혼 진정성, 경제적 자립, 사회적 정착도를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체류기간을 차등 부여합니다.
6. 서류 작성 시 유의사항
- 주민등록등본 주소 일치 필수: 부부가 실제 동거 중임을 보여야 합니다. 주소 불일치 시 혼인실체 부정 사유가 됩니다.
- 소득요건 미달 시 대체자료 제출 가능: 「사회보장급여법」상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하며, 일용직·아르바이트라도 통장입금내역으로 보완 가능.
- 혼인 파탄 우려가 있을 경우: 폭력, 별거, 임신 등 상황을 정확히 기술한 ‘사유서’를 제출하면 인도적 체류연장이 가능합니다.
- 서류 유효기간 3개월 원칙: 모든 공문서(혼인관계, 가족관계 등)는 발급일 기준 3개월 이내.
- 허위서류 제출 금지: 허위 혼인·허위소득 증명은 체류취소 사유(출입국관리법 제89조의2)로 영주·국적신청에도 불이익.
7. 행정실무 예시
사례: 몽골인 F-6-1 체류자 A씨(결혼 4년차)가 한국인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며 1세 자녀를 양육 중. 남편의 연소득이 2,000만 원으로 낮지만, 임대보증금 3천만 원과 일용직 소득내역을 제출함.
→ 실질혼 관계가 유지되고 자녀 양육이 확인되어 2년 체류연장 허가 가능.
8. 체류연장 불허 사유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33조)
- 위장결혼 또는 실질혼 관계 단절
- 범죄 전력(형사처벌) 또는 세금·범칙금 미납
- 체류기간 중 위법행위(불법취업, 폭행 등)
- 제출서류 허위기재 또는 위조
→ 불허 시 불허결정통지서가 교부되며, 90일 내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 제기 가능
9. 결론
| 항목 | 요약 |
|---|---|
| 신청시기 | 체류만료 90일 전부터 가능 |
| 심사기준 | 혼인유지 여부 + 경제력 + 거주실태 |
| 연장기간 | 1~3년 (자녀·혼인기간 등 고려) |
| 인도적 사유 | 임신·출산·폭력피해 등은 예외 허용 |
| 중요서류 | 혼인·가족관계증명, 소득·거주 입증, 결혼생활 증거 |
| 주의사항 | 주소·소득 불일치 시 보완자료 첨부 필수 |
10. 행정사 조언
- 최근 법무부는 혼인 진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합니다.
- 임신·출산 중인 외국인은 반드시 병원 진단서를 제출하면 인도적 연장이 거의 허가됩니다.
- 서류작성 시에는 배우자와 함께 공동서명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을 높이세요.
- 체류연장이 거절되면 즉시 “재심사 요청” 또는 “이의신청”을 하여 구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