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본

Maintaining Visa Status After Divorce: Foreign Parents Raising Minor Korean Children

Eunsun Park
Eunsun Park
3 days ago

1. What is “Marriage Dissolution” under Korean Immigration Law?

"Marriage dissolution" refers to the termination of a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a foreign national and a Korean citizen. This can occur through:

  • Divorce (mutual agreement or court decision)
  • Death of the Korean spouse
  • Permanent separation without formal divorce

In most cases, foreign nationals on an F-6-1 (marriage visa) lose their visa status after the marriage ends.


2. Exceptions: When Can You Stay in Korea After Divorce?

Under Article 23(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mmigration Act, a divorced foreign national may retain or change their visa if they are raising a minor child born from the marriage.

A Key Condition:

“The foreigner is actually raising a minor child born in the marriage with a Korean national.”

B Detailed Requirements:

RequirementExplanation
Legal custody or parental rightsMust be the legal custodian or guardian through court ruling or agreement
Actual upbringingMust live with the child and provide support such as education and living expenses
Child must be a minorGenerally under 19 years old (high school age or below)

3. Eligible Visa Types After Divorce

1) F-6-2 (Divorced Spouse Raising Minor Child)

  • A continuation of the F-6 visa under different grounds
  • Specifically for foreign nationals who are raising children born from their marriage with a Korean national

2) F-2-2 (Parent of Minor Korean National)

  • Allows a more stable and long-term stay
  • Can be a stepping stone to permanent residency (F-5)

4. Application Process

a Where to Apply

  • Local Immigration Office or Branch Office

b How to Apply

  • In-person or online through HiKorea

c Processing Time

  • Typically takes 1–2 months

5. Required Documents

CategoryDocuments
DivorceDivorce certificate, court judgment, or spouse’s death certificate
Child custodyCourt ruling or written agreement confirming custody
Proof of child relationshipFamily relation certificate, child’s resident registration
Evidence of upbringingSchool records, joint residence documents, financial support proof
IdentityPassport, Alien Registration Card, application form

⚠ All foreign documents must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notarized. Submit all documents issued within the last 3 months.


6. Critical Notes for Document Submission

  • Immigration officers assess whether the parent is truly raising the child
  • Shared custody with cohabitation and financial support is ideal
  • Supporting evidence includes:
    • Bank transfers for child support
    • Child’s school address and parent’s address match
    • Statements from teachers, neighbors, etc.
  • If you are a victim of domestic violence or abuse, you may qualify even without custody

7. Conclusion and Practical Tips

If you're a foreign spouse of a Korean national and your marriage has ended, you may still stay in Korea if you're raising a minor child born in that marriage.

However, immigration authorities will thoroughly assess the authenticity of your caregiving. If your documentation is insufficient, your application could be denied.

Therefore, it's strongly recommended to consult an immigration attorney or certified administrative scrivener to prepare your case.

1. 혼인단절이란?

혼인단절이란 외국인이 대한민국 국민과의 혼인관계를 해소한 상태를 말하며, 주로 다음의 경우가 포함됩니다.

  • 이혼 (합의 또는 재판상)
  • 배우자의 사망
  • 별거 상태에서 실질적인 부부관계 단절

해당 외국인이 혼인으로 인해 취득한 F-6(결혼이민) 체류자격은 일반적으로 혼인관계가 해소되면 종료 대상이 됩니다.


2. 체류자격이 유지 가능한 예외 요건

그러나,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제23조 제3항 및 법무부 지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는 경우 체류자격 유지 또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 자녀 양육 요건 (핵심 기준)

"혼인으로 출생한 미성년 자녀를 실제로 양육하고 있을 것"

법적 근거:

  •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제23조 제3항 제2호
  • 법무부 체류심사 지침: F-6 체류자격 유지 사유로 인정

요건 상세:

요건설명
자녀의 친권자일 것법원 판결이나 협의로 양육권 또는 친권을 가진 자
실제 양육하고 있을 것단순한 명목이 아닌 동거·생활비·교육비 지원 등 실질적 양육 필요
자녀는 미성년자일 것일반적으로 만 19세 미만 (고등학교 졸업 전 기준 적용됨)

※ 자녀가 성년에 도달하면 이 요건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음


3. 신청 가능한 체류자격

1) F-6-2 (혼인단절 후 체류 연장)

  • 기존 F-6-1 비자를 소지한 사람이 이혼 후에도 자녀 양육 사유로 F-6-2로 체류자격 변경 가능

2) F-2-2 (국민의 미성년 자녀의 친권자)

  • 한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단독 양육하고 있다면 F-2-2로 변경 가능
  • 보다 안정적인 체류자격으로 분류되며, F-5 영주자격으로의 전환도 용이

4. 체류자격 변경/연장 절차

① 신청처

  • 관할 출입국·외국인청 또는 사무소

② 신청방법

③ 심사기간

  • 일반적으로 1~2개월 이내

5. 제출서류

분류주요 서류
혼인 해소 관련혼인관계증명서, 이혼판결문 또는 배우자 사망확인서
자녀 양육 증명가족관계증명서, 자녀 주민등록등본, 실제 동거 확인 서류, 교육비·생활비 송금내역 등
친권 증명법원 결정문 또는 협의 이혼 시 친권/양육권 협의서
본인 신분여권, 외국인등록증, 체류기간연장 또는 자격변경 신청서 등

모든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본을 제출하고, 외국어 서류는 반드시 한글 번역공증 필요


6. 서류 작성 및 제출 시 주의사항

  • 자녀와 실제로 동거하고 있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 (주민등록주소지, CCTV, 학교 통학 등으로 확인됨)
  • 생활비, 교육비 송금 내역은 자녀의 생활 실질적 책임을 입증하는 핵심 자료
  • 자녀가 부모 중 누구와 주로 생활하는지에 대해 학교·학원, 이웃 진술 등도 활용될 수 있음
  • F-6 체류자가 이혼 시 폭력, 학대, 유책배우자 사유 등으로 인한 피해자일 경우에도 체류자격 유지 가능

7. 결론 및 실무 팁

  • 혼인단절로 인해 체류자격이 상실될 수 있다고 걱정하지 마십시오.
  • 자녀가 있는 경우 실질적인 양육 사실을 증명하면 체류자격 유지가 가능합니다.
  • 다만, 사실관계 입증이 부족하거나 증거력이 약한 경우 체류연장이 거절될 수 있으므로,
  • 반드시 경험 많은 행정사 또는 변호사와 상담 후 서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

항목설명
대상한국인과 이혼 또는 사별한 외국인
요건미성년 자녀를 실제로 양육 중일 것
신청 가능 체류자격F-6-2, F-2-2
핵심 증빙친권·양육권 서류, 동거 증빙, 생활비 지원 자료 등
유의점허위·부실 서류 제출 시 불이익 발생 가능


Logo
© 2025 The K Administrative Agency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