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lanation regarding foreign workers when their employer is involved in a merger or acquisition
1. Basic Principle: Succession of Employment
In the case of a merger or acquisition (M&A), the employment relationship is generally succeeded. This principle applies equally to both Korean and foreign employees. If a foreign worker continues to work under the same conditions after the merger, their visa status (such as E-7 or E-9) is generally not affected.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Articles 23 and 24), a transfer or merger of a business does not affect existing employment contracts.
- Under the Immigration Control Act Enforcement Rules, if the employer is not substantially changed, there is no need to apply for a change of status or file a separate report.
2. Exceptions & When Notification Is Required
In certain cases, it is necessary to report to or get approval from the immigration office:
(1) If Employment Terms Are Changed
- If employment conditions change after the merger (e.g., job duties, location, salary),
- If the actual employer (legal entity) changes,
- If th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changes,
→ Then, change of employer or visa status must be reported or approved.
(2) Visa-Specific Considerations
- E-7 (Specific Activities Visa)
- Change of employer requires approval.
- If the company name changes but the business entity and employment conditions remain the same, no change is required.
- If th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changes, approval is required.
- E-9 (Non-professional Employment)
- Change of employer is handl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 If the new company does not inherit the employment permit, a new permit or job placement is required.
3. Administrative Procedure & Reporting Method
For E-7 Visa Holders
- Application for Employer Change
- How to apply: Via HiKorea (www.hikorea.go.kr) → Stay Services → Employer Change Permit
- Deadline: Within 15 days from the date of knowledge of the merger or acquisition
Required Documents (example)
- Application form for change of employer
-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for both old and new companies)
- New employment contract
- Documents proving the merger or acquisition (e.g., merger agreement, corporate registry)
- Other documents depending on visa category
4. Notes for Document Preparation
- Make sure the employment contract clearly states any changes to duties, location, or salary.
- Check whether th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has changed to determine whether it’s a simple notification or requires approval.
- Most documents should be issued within the last 3 months.
5. Practical Tips
- Submitting a statement confirming continued employment can help in the approval process.
- Failure to report in time may be considered unauthorized employment, which can affect visa status.
- If only the company name changes and all other conditions (business registration, location, duties) remain the same, no notification may be required—but this should be confirmed on a case-by-case basis.
Conclusion
When a company employing a foreign worker undergoes a merger or acquisitio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is generally succeeded, and the worker’s visa status remains valid. However, if the merger leads to changes in employer entity,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or employment terms, then a report or permit application is required. Employers must carefully review these changes and proceed with immigration notifications or approvals as needed.
If in doubt, it is highly recommended to seek an official interpretation from the Ministry of Justice or a legal professional.
외국인 근로자가 근무 중인 회사가 다른 회사에 인수합병(M&A) 되는 경우, 고용관계 및 체류자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기본 원칙: 고용관계의 승계
인수합병 시 고용관계는 원칙적으로 승계됩니다. 이는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인수합병 후에도 동일한 근로조건 하에서 근무가 계속된다면 체류자격(E-7, E-9 등)에는 원칙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관련 법령 및 행정 지침
- 「근로기준법」 제23조 및 제24조에 따라 사업의 양도·합병은 근로자와의 고용계약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 「출입국관리법 시행규칙」 제21조의3 및 체류지침에 따르면, 고용주 변경이 수반되지 않는 고용승계의 경우 체류자격 변경이나 별도의 신고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2. 예외 및 신고 필요 여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신고하거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1) 고용계약 변경 시
- 인수합병 후 고용계약의 조건이 변경되거나,
- 사업장이 변경되어 근무지 이전이 발생하거나,
- 고용주가 실질적으로 다른 법인으로 바뀐 경우 등
⇒ 체류자격변경 신고 또는 고용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2) 비자별 유의사항
- E-7 (특정활동)
- 고용주 변경은 원칙적으로 허가 대상입니다.
- 인수합병으로 인해 법인이 변경되었더라도 사업 내용 및 근무 조건이 유지되고 고용이 승계되면 허가 없이도 유지 가능하지만, 사업자번호 변경 시에는 변경허가 필요합니다.
- E-9 (비전문취업)
- 사업장 변경은 고용허가제(Employment Permit System)의 절차를 따릅니다.
- 합병 후 새로운 회사가 고용허가를 승계하지 않는 경우, 고용변경 절차가 필요합니다.
3. 행정 절차 및 신고 방법
E-7 비자 보유자의 경우
- 고용주 변경허가 신청
- 신청경로: 하이코리아(www.hikorea.go.kr) → 체류민원 → 고용주 변경 허가 신청
- 신청기한: 인수합병 사실을 인지한 날부터 15일 이내
제출서류(예시)
- 고용주 변경허가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구/신 회사 모두)
- 고용계약서 (신규 고용주와 체결한 것)
- 인수합병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문서 (예: 합병계약서, 등기부등본 등)
- 체류자격별 기타 추가서류
4. 서류 작성 시 주의사항
- 고용계약서 상 직무, 근무지, 급여조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것
- 인수합병이 사업자번호 변경을 수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순 신고사항인지, 허가대상인지를 구분해야 함
- 제출하는 사업자등록증 및 계약서는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로 준비할 것
5. 실무 팁
- 고용유지 확인서 등을 통해 고용관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명확히 입증하면 허가 가능성이 높음
- 신고를 지연할 경우 불법취업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기한을 반드시 준수할 것
- 인수합병 후 법인이름만 바뀌고 사업자번호가 유지되며, 동일한 장소와 직무라면 신고 불요한 경우도 있음(이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확인 필요)
결론
인수합병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관계는 원칙적으로 승계되며, 체류자격에도 영향은 없습니다. 다만 사업자번호 변경, 고용계약 변경 등 실질적인 고용주 변경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체류자격 변경 허가 또는 고용주 변경 신고가 필수입니다. 외국인 고용회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전에 신고의무 여부를 검토하고 필요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필요시 사안별 행정해석이나 법무부 유권해석을 받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