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a person who has been illegally staying in Korea for 5 years apply for or obtain a refugee visa?
1. Relevant Legal Basis
The refugee application process is governed by the Refugee Act and the Immigration Control Act.
(1) Article 5 of the Refugee Act (Application)
A foreigner staying in the Republic of Korea may apply to the Minister of Justice for recognition as a refugee. Even a person undergoing immigration inspection or in detention may apply.
Therefore, even an undocumented or overstaying foreigner may apply for refugee status regardless of their legal stay status. This right is protected under both the 1951 Geneva Refugee Convention and Korean law.
2. Ministry of Justice Guidelines and Actual Practice
(Source: Refugee Affairs Guidelines, Sept. 2022; Seoul Bar Association Refugee Case Manual)
(1) Illegal stayers may apply while “deportation procedures are suspended”
- Once an overstayer files a refugee application, deportation is automatically suspended under Article 46(1)(6)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 In effect, the applicant’s stay becomes temporarily legal during the refugee review process.
Refugee applicants are granted a G-1-5 (refugee applicant) residence status under Article 40 of the Refugee Act.
(2) However, a long period of illegal stay weakens “credibility”
- The Ministry of Justice often doubts the genuineness of the application if the applicant overstayed for years to avoid deportation or for economic reasons.
- In particular, if the refugee claim is made 1–2 years or more after entry, it is often rejected as a means to prolong stay rather than a genuine fear of persecution.
3. Case Law and Precedents
(1) Seoul Administrative Court, Case No. 2019GuHapXXXX
A foreigner applied for refugee status 4 years after overstaying. The court held: “The applicant remained for economic reasons and failed to prove persecution.” → The longer the illegal stay, the lower the credibility of the refugee claim.
(2) Recognized case example
A person who fled political persecution, entered Korea via a third country, and applied for asylum soon after illegal entry. → Refugee status was granted after verifying a real and imminent threat of persecution.
4. Refugee Application Procedure
| Step | Description |
|---|---|
| ① Application | Submit “Refugee Application Form” to an Immigration Office |
| ② Upon receipt | Deportation is suspended even for illegal stayers |
| ③ Temporary status | Granted G-1-5 visa (initially 6 months, renewable) |
| ④ Interview | Conducted by a refugee officer; lawyers/interpreters may attend |
| ⑤ Decision | Refugee recognized or denied (appeal or lawsuit possible) |
5. Summary – Can Overstayers Obtain the Refugee (G-1-5) Visa?
| Category | Possibility | Notes |
|---|---|---|
| Refugee application itself | Possible | Even illegal stayers may apply (Refugee Act, Art. 5) |
| Stay after application | Legalized (G-1-5) | Temporary status granted |
| Over 5 years of overstay | Possible but unfavorable | Credibility questioned |
| Under deportation order | Possible | Deportation automatically suspended upon filing |
| Under criminal sentence | Limited | May apply with correctional facility coordination |
6. Practical Advice from an Administrative Officer
(1) If the illegal stay exceeds 5 years, strong evidence of persecution is essential. Examples include:
- Arrest warrants or threat letters related to political persecution
- Statements from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 Detailed personal affidavits describing persecution
(2) Economic reasons (poverty, lack of jobs) do not qualify. → The claim must involve persecution based on religion, politics, race, nationality, or membership in a particular social group.
(3) Even while under illegal stay, once refugee status is applied and G-1-5 status is issued:
- Applicants may request work authorization under Article 40(2) of the Refugee Act.
- May access certain healthcare and education services.
7. Summary Table
| Item | Explanation |
|---|---|
| Eligibility to apply | Yes (illegal stayers may apply for asylum) |
| Visa granted | Temporary G-1-5 residence status during review |
| Risk of rejection | High if long-term overstay; credibility doubted |
| Recommended action | Collect strong evidence of persecution; apply with a lawyer or administrative officer |
5년간 불법체류한 외국인이 난민신청을 하거나, 난민비자를 받을 수 있는가?
1. 관련 법령 근거
난민 관련 절차는 「난민법」 및 「출입국관리법」에 근거합니다.
(1) 난민법 제5조 (신청)
대한민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법무부장관에게 난민인정을 신청할 수 있다. 단, 입국심사 중 또는 보호 중인 외국인도 신청 가능하다.
즉, 불법체류 중인 외국인이라도 체류신분과 관계없이 난민신청은 가능합니다. 이는 국제난민협약(1951년 제네바협약)과 국내법 모두 동일하게 보장합니다.
2. 법무부 지침에 따른 실제 처리 원칙
(출처: 「2022.9. 난민업무 지침」, 「서울지방변호사회 난민사건 법률지원 매뉴얼」)
(1) 불법체류자는 “강제퇴거절차 정지” 상태로 신청 가능
- 불법체류자가 난민신청을 하면, 출입국관리법 제46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강제퇴거 명령 집행이 정지됩니다.
- 즉, 난민심사 기간 동안은 체류가 합법화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난민신청자는 「난민법」 제40조에 따라 ‘난민신청자용 체류허가증(G-1-5)’을 발급받습니다.
(2) 다만, 불법체류 기간이 길면 ‘신뢰성 심사’에서 불리
- 법무부는 불법체류자가 출국명령을 회피하거나 생계 목적으로 체류하다 뒤늦게 난민신청을 하는 경우, “신청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특히 입국 후 1~2년 이상 경과한 뒤 신청한 경우, 난민사유(박해·위험)가 아닌 체류연장 수단으로 보아 기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실제 사례 및 판례
(1) 서울행정법원 2019구합XXXX 판결
불법체류 4년 후 난민신청을 한 외국인에 대해, “장기간 체류한 사유가 생계유지 목적이고, 본국의 박해 증거가 부족하다”며 기각. → 불법체류 기간이 길수록 신청의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명시.
(2) 반대로 인정된 사례
본국에서 정치적 이유로 도피 후, 제3국을 거쳐 입국 후 불법체류 상태에서 즉시 난민신청을 한 경우 → 박해의 실질 위험이 입증되어 인정된 경우 있음.
4. 난민신청 시 절차
| 절차 단계 | 내용 |
|---|---|
| ① 신청 | 출입국·외국인청에 방문하여 ‘난민인정신청서’ 제출 |
| ② 접수 후 즉시 | 불법체류자라도 ‘강제퇴거정지’ 효력 발생 |
| ③ 임시체류자격 부여 | G-1-5 체류자격 부여 (최초 6개월, 이후 연장 가능) |
| ④ 면접심사 | 난민심사관 면접, 필요시 변호사·통역인 참여 |
| ⑤ 결정 | 난민 인정 또는 불인정(불복 시 이의신청, 행정소송 가능) |
5. 불법체류자의 난민비자(G-1-5) 허용 여부 요약
| 구분 | 가능 여부 | 비고 |
|---|---|---|
| 난민신청 자체 | 가능 | 불법체류자라도 신청 가능 (난민법 제5조) |
| 신청 직후 체류 | 합법화(G-1-5) | 출입국에서 임시체류자격 부여 |
| 5년 이상 불법체류자 | 가능하지만 불리 | 심사 시 “신청의 진정성” 의심 |
| 강제퇴거 중인 자 | 가능 | 단, 신청 즉시 퇴거정지 효력 발생 |
| 형사처벌 중인 자 | 제한적 가능 | 구속 중 신청 시 교정시설 협조 필요 |
6. 행정사 실무 조언
(1) 불법체류 기간이 5년 이상이라면, 난민사유의 신빙성 증거 확보가 절대적입니다. 예:
- 정치적 탄압 관련 체포영장, 위협문서, 사진 등
- 국제인권단체 진술서
- 본국에서 박해받은 사실에 대한 구체적 진술서
(2) 단순 경제적 이유(가난, 일자리 없음)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반드시 “박해”가 핵심 (종교, 정치, 인종, 특정사회집단 등 사유)
(3) 불법체류 중이라도 난민신청 후 G-1-5 체류자격이 부여되면,
-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취업활동허가’(난민법 제40조제2항) 신청 가능
- 보건의료·교육 등 일부 복지서비스 이용 가능
7. 결론 요약
| 항목 | 내용 |
|---|---|
| 신청 가능 여부 | 가능 (불법체류자도 난민신청 가능) |
| 비자 부여 | 난민신청 시 G-1-5 임시체류자격 부여 |
| 심사상 불이익 | 불법체류 기간이 길면 진정성 부족으로 기각될 가능성 높음 |
| 권장 조치 | 난민사유 입증자료 확보, 변호사 또는 행정사 동행 신청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