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Can E-9 Workers Change Workplaces?
1. What Is the E-9 Visa?
The E-9 visa (Non-Professional Employment) is issued to foreign workers under Korea’s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It allows employment in sectors like manufacturing, agriculture, construction, etc., based on a contract with a specific employer.
Foreign workers on an E-9 visa can only work for the designated employer. Working elsewhere without approval is considered illegal employment.
2. When Can E-9 Workers Change Workplaces?
Under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E-9 visa holders can change workplaces only under certain legal conditions:
▶ Employer-Related Reasons (Employer's fault)
| Reason | Examples | 
|---|---|
| Business closure or bankruptcy | Employer goes out of business | 
| Wage delay or non-payment | Not receiving salary for months | 
| Abuse, assault, harassment | Workplace violations or discrimination | 
| Industrial accident | Injured and cannot continue current work | 
▶ Non-fault Reasons (Not the worker’s fault)
- Medical reasons (doctor confirms inability to perform current work)
 - Unsafe or poor living conditions (e.g. no housing provided)
 - Loss of employer’s business license
 
▶ Voluntary Transfer (Exceptional Cases)
- After working at least 1 year with the same employer
 - Mutual agreement form signed by both worker and employer
 - Subject to approval by immigration and labor office
 
3. E-9 Workplace Change Procedure
- Confirm a Valid Reason
- Gather evidence: unpaid wages, medical certificate, etc.
 
 - Report to Employment Center (Job Center)
- Visit the regional Labor Office (Employment Center) to request job change
 
 - Visit Immigration Office
- Register the new employer and update your visa records
 
 - Start Working at New Company
- Once approved, begin work at the new location
 
 
4. Required Documents
| Type | Document | 
|---|---|
| Common | Job change application form (Labor Office format) | 
| Common | Passport, Alien Registration Card | 
| By Case | Business closure letter, wage delay certificate, medical records | 
| For Voluntary Change | Employer consent form | 
| New Employer | Copy of new employment contract | 
※ All documents must be issued within the last 3 months ※ Some documents may require Korean translation or administrative opinion letter
5. Important Notes
- Leaving your job without permission can lead to visa cancellation or deportation
 - Do not leave your current job until change is approved
 - You can change workplaces up to 3 times during your stay (More than 3 only if it's the employer's fault)
 
6. After the Change
- Sign a new employment contract
 - Report the change to the immigration office
 - Update your address if you've moved
 - Attend any required job safety or orientation training sessions
 
7. Final Thoughts
Changing workplaces under the E-9 visa is legally possible, but only with proper reasons and documentation. If you're experiencing wage issues, poor working conditions, or abuse, there are legal steps to change your job and protect your rights.
1. E-9 비자란?
E-9(비전문취업) 비자는 대한민국 정부가 **고용허가제(EPS)**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도입할 때 사용하는 비자입니다. 제조업, 농축산업, 건설업 등에서 주로 활용되며, 고용주와의 계약을 기반으로 체류 및 근로가 가능하도록 허용합니다.
즉, 지정된 고용주에게만 합법적으로 근무할 수 있습니다. 근무처 변경 없이 다른 사업장에 일하는 것은 불법취업으로 간주됩니다.
2. E-9 근무처 변경이 가능한 경우 (합법적 사유)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합법적인 근무처 변경이 허용됩니다.
▶ 고용주 귀책 사유
| 사유 | 예시 | 
|---|---|
| 사업장 폐업 또는 도산 | 고용주의 파산 등으로 근로 불가능 | 
| 임금 체불 | 수개월 이상 급여 미지급 | 
| 폭행, 성희롱, 부당대우 | 사업장에서의 인권침해 사례 | 
| 산업재해 | 작업 중 사고 발생 후 근로 불가 판단 시 | 
▶ 근로자 귀책 아님
- 질병 또는 부상으로 해당 업무 계속 수행 불가능한 경우
 - 숙소 미제공 등 기본 생활환경 미흡
 - 고용주의 인허가 취소 등 행정적 사유
 
▶ 사업장 자발적 이직 (예외적 허용)
- 최초 입국 후 1년 이상 근무자
 - 고용주와 상호 합의서 작성 후 허가 신청
 
3. 근무처 변경 절차
- 변경 사유 발생 확인
- 임금체불, 사업장 이전, 질병 등 발생 시
 
 - 노동센터 신고
- 관할 고용노동지청(고용센터) 방문하여 사유 증빙 및 변경 신청
 
 - 출입국·외국인청 방문
- 체류지 관할 출입국에서 변경된 고용주 정보 반영 신청
 
 - 새 고용주 등록 및 근무 개시
- 허가 이후 새 사업장에 근로 가능
 
 
4. 제출 서류
| 구분 | 서류명 | 
|---|---|
| 공통 | 고용변동신청서 (고용센터 양식) | 
| 공통 | 외국인등록증, 여권 | 
| 사유별 | 폐업사실확인서, 임금체불확인서, 진단서 등 | 
| 추가 | 고용주 변경 동의서 (자발적 변경 시) | 
| 기타 | 새 사업장의 표준근로계약서 사본 | 
※ 모든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본 원칙 ※ 필요 시 번역 및 행정사 의견서 첨부 가능
5. 근무처 변경 시 유의사항
- 무단이탈 또는 정당한 사유 없는 이직은 불법체류 또는 강제출국 사유가 될 수 있음
 - 승인 전에는 기존 사업장에 계속 근무해야 하며, 중간에 이탈 시 불이익
 - 근무처 변경은 최대 3회까지 가능, 단 고용주 귀책사유일 경우 추가 변경 가능
 
6. 근무처 변경 이후 절차
- 새로운 고용주와의 근로계약 체결
 - 출입국관리소에 변경 사실 신고
 - 체류지 변경 시 주소변경 신고 필수
 - 사업장 교육, 안전교육 등 이수 필요할 수 있음
 
7. 결론
E-9 근무처 변경은 제한적으로 가능하지만, 반드시 정당한 사유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특히 고용주와의 갈등이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변경이 가능합니다.